학술논문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이용수 204
- 영문명
- Spatial Experience Design of a Collaborative Space in the University Library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성우 강도연 이수진 하승진 고하경 구민성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118~13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간은 경험의 장소로 이용자가 체류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 요소에 의해 공간의 전체적인 만족도가 형성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리모델링 공간에 학생 중심의 창의·협업·소통 활동용 공간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공간적 경험을 제공해야 공간의 만족도가 증대하고 의도했던 UX가 공간의 장소성(placeness)으로 형성되는가를 규명하고, 이를 실체적인 경험 요소로 구현하여 공간에 탑재하는 데에 있다. 연구에서는 서비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에 맞춰 과제를 수행하면서 공간 경험의 비전을 수립하고 서비스스케이프의 3개 차원별 주요 경험 요소와 이들을 실체화하는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변 환경’ 차원으로는 백색 소음의 공인, ‘공간적 구성 및 기능’ 차원으로는 각종 이동형 가구와 산재한 바닥 매립형 콘센트 박스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든 즉석 구성할 수 있는 모바일 하이브 형 협업 공간, ‘사인, 심볼 및 인공물' 차원에서는 자유롭고 편안한 분위기의 조성을 위한 휴게구역과 대학생의 역동성·개방성·자율성을 상징하는 ‘날마다 다른 공간 배치' 등이 나왔다. 아이디어는 desktop walkthrough 기법으로 검증 후 통합정리하여 리모델링에 반영되었다. 2개월의 사용 기간 후 인터뷰 및 현장 관찰로 공간에 대한 학생의 UX 평가를 수행하였고, 평가 결과로부터 공간 경험 요소가 학생의 창의·협업·소통 활동의 사용 행태를 원활하게 유도하면서 의도했던 공간의 장소성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A space serves as a platform of experience,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a space is shaped by various experiential elements that users encounter during their stay. This project aims to pinpoint the spati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tudent-centered creative, collaborative, and communicative space in a university library that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the space. Furthermore, the project explores how these elements contribute to the overall 'placeness' of the space and how they can be integrated into the refurbishment process. Utilizing service design thinking as a guiding framework, we formulated a vision for the spatial experience, identifying key experiential elements across the servicescape's three dimensions. Specifically, we highlighted the allowance of permissible white noise for the 'ambient condition' dimension, movable furniture and ubiquitous floor outlets for the 'spatial layout and functionality' dimension, and a cozy rest area with a daily-changing arrangement emblematic of the dynamic, open, and independent nature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signs, symbols, and artifacts' dimension. We then generated diverse ideas for embedding the components in the space. The generated ideas were assessed through the desktop-walkthrough technique and incorporated into the renovation. After two months of use of the space, we evaluated students’ UX satisfaction through on-site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verified that experiential components successfully stimulated students' activities, and the intended placeness was established within the space.
목차
1. 서론
2. 공간 경험 디자인에서의 선행 연구 고찰
3. 공간 경험 설계
4. 공간의 UX 평가
5. 결론 및 향후 연구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