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Cushioning Performance Design of Children's Running Sho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걸 강재철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248~260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몇년 동안, 아동이 건강하게 성장하는데 있어 체력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달리기는 어린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스포츠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아동용 러닝화 산업이 주목받고 있는데 이 러닝화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에는 발 피로도를 낮춰주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8~12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하였는데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작용을 재료적 완충작용과 구조적 완충작용으로 구분한다. 상기 두 가지 유형의 완충특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유형의 완충성능을 모두 갖춘 러닝화의 성능분석을 진행하고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은 주관적 선호도 분석 및 기구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동용 러닝화에 사용되는 완충재에 따라 완충성능이 달라지며 신발창의 두께와 경도도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running, which can help children's physical strength in terms of healthy growth, has attracted attention as the most important sport for children. Therefore, the children's running shoe industry is concerned. The main purpose of children's running shoes is to provide effective shock absorption for the feet. This study takes children aged 8-12 as the research object and finds that the cushioning of children's running shoes can be divided into material cushioning and structural cushioning. Aiming at the above two cushioning characteristics, and the performance analysis of running shoes with two kinds of cushioning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based on subjective preferences Cushioning performance test of children's running shoes by degree analysis and instrument test metho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different cushioning materials of children's running shoes can produce different cushioning performance, and the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sole will also affect children's cushioning perform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실험환경 설정
4. 실험 평가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