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이용수 182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and utilization plans of realistic content(AR/VR/MR)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realistic content in the interior design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재명 이용기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232~247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내디자인 분야에서 고객과 발생되는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과 기존 디자인 수정과정 및 피드백에서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고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의 기술과 동향, 콘텐츠를 활용한 국내/외 사례들을 살펴보고 실내디자인 과정에서의 콘텐츠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첫째, 가상의 디자인 솔루션으로 실시간 피드백과 더 나은 의사소통으로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디자인의 상세한 계획과 세부 사양 등을 통해 리소스(Resource)를 최소화하고 설계변경에 수반되는 부담과 비용, 시간을 완화 시켜준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의 확장성을 위해 콘텐츠 관리 시스템(CMS)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 사스(SaaS) 기반의 퍼블리싱 에디터를 제공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간 정보 보안법 규제를 완화하고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을 개정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활용이 실내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건설 분야와 도시설계, 재난/재해, 교육 등 다양한 분야로의 기술확장에 질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nd the method that takes a lot of time in the existing design modification process and feedback.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technology and trend of realistic content, domestic and foreign cases using content, and presents the need for and utilization of content in the interior desig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roblems can be minimized through real-time feedback and better communication with virtual design solutions. Second, it minimizes resources through detailed planning and specifications of the design and alleviates the burden, cost, and time accompanying design changes. Third, a content management system(CMS), drag & drop method, and Software as a Service(SaaS) publishing editor should be provided for the scalability of realistic content. Lastly, there is a need to ease the regulations of the Spatial Information Security Act and to revise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D to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content utilizat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urban design, disaster, education, as well as interior design.
목차
1. 서론
2. 실감형 콘텐츠 선행연구 분석
3. 실감형 콘텐츠 이론적 고찰
4. 실내디자인 과정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
5. 실내디자인 분야 실감형 콘텐츠 적용사례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