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UI/UX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Figm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홍순재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34~4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클라우드 기반 프로토타이핑 툴인 피그마를 통해 효과적인 UI/UX 디자인 교육 활용방안을 탐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연구를 통해 사용자 경험과 인터페이스에서 고려하여야 할 부분들은 정리하고, 이를 통해 두 요소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대학기관에서 운용되고 있는 NCS 기반 UI/UX 디자인 교육 현황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수행준거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이후 NCS 학습모듈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피그마에서 지원하는 기능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수업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발굴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교육에서의 피그마 적용사례와 그 결과를 통하여 수강생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의견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그마를 활용한 UI/UX 디자인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 the utilization of UI/UX design education through Figma, a prototyping tool.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research, the parts to be considered in user experience and interface were organi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actors was confirmed as well.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NCS-based UI/UX design education currently operated by university institutions was identified, and a framework for performance standards was prepared. Afterwards, the functions supported by Figma were examined centering on the curriculum of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hrough thi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mpleteness of classes for students were discovered. Finally, positive feedback and opinions of the students were confirmed through Figma in design education as th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UI/UX design education using Figma will be effectiv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피그마를 활용한 UI/UX 디자인 교육 활용 방안
4. UI/UX 디자인 교육에서의 적용 사례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