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이용수 134
- 영문명
- Study on Cases of Execution of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With focus on cases of design department at colleges in capital reg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홍규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207~21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래사회 수요에 맞는 학습자중심 교육으로의 변화를 위하여 대학이 보유한 역량과 자원을 활용한 산학공동기술개발, 맞춤형 애로기술지도, 산업체 재직자 교육 등 다양한 산학협력 활동을 지원해야 한다. 본 연구는 LINC사업을 통해 대학이 주도하여 기업과 진행한 산학연계형 수행사례 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전문대학 디자인계열 대학의 운영사례를 연구하여 선도모델을 창출 ․ 확산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업을 통하여 대학의 시스템이 산학협력체계로 개선되어 산학협력 기반조성과 인재양성 효과, 공유 및 협업 성과 등을 분석하고 사업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의 인재양성 효과, 기업과 산학협력 강화 효과 등 특화분야 기술개발실적이 꾸준히 증가하게 되어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t is necessary to support diversified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ctivities including joint industry-academia technology development, customized technical guidance for difficulties and education for employers of industry, etc. by utilizing capabilities and resources that universities have in order to undergo transition to learner-oriented education that can fulfill the demands of future society. This study is on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type cases executed with corporations with the university playing the lead role through LINC project. This study aimed to create and proliferate a leading model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cases of a design department at a college in capital region.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is project was reviewed by analyzing its effects on establishment of foundation for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and cultivation of competent persons, and sharing and collaboration performances, etc. thereof through improvement of the university system into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system. As the result of the study, technology development performances in specialized areas including the effects of cultivation of competent persons by the university and effect of strengthening of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of companies, etc. increased continuously, thereby making contribution towards local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 산학협력선도대학 프로젝트 추진
4. 산학협력선도대학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