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Daily Life-Fit Assistive Devic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Daily Liv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Hom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한소라 조성주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8, No. 2(통권 27권), 261~2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재 장애인에 관한 문제는 여성장애인들의 특수성은 고려되지 않은 채 남성 장애인을 중심으로 일률적으로 시행되고 있어 여성장애인으로서의 기본적인 권리는 충분히 보장되지 못하고 있으며, 여성장애인의 생애주기(결혼, 임신, 출산, 육아)에 관련한 지원 정책 및 이를 도와주기 위한 보조기기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들의 육아 및 주방 생활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조기기를 디자인하기 위하여 현황 조사와 보조기기 사례 분석 그리고 선행특허 조사를 하고 인터뷰를 통하여 다양한 니즈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용 베이스 모듈에 틸팅, 리프팅, 로테이팅 등 여러 가지 기능 구현이 가능한 확장 모듈로 구성된 생활 밀착형 보조기기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을 분석하여 숨겨진 니즈를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장애인 보조기기를 개발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Currently, problems related to the disabled are uniformly implemented around the male disabled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female disabled, so basic rights as female disabled people are not sufficiently compens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of auxiliary devices related to pregnancy and childcare for women with disabilities who are experiencing various inconveniences. In order to design the assistive device, various need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case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prior patent research, and interviews. Based on this, we proposed a daily life-fit assistive device design composed of modules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functions.
목차
1. 서론
2. 여성장애인 현황
3. 장애인 보조기기 현황 및 개발 동향
4. 여성장애인의 육아 활동을 위한 니즈 분석
5. 여성장애인의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 디자인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캡스톤디자인을 활용한 디자인 전공수업 사례 연구
- 운동 앱의 감성 체험 향상을 위한 UI 디자인 연구
- SNS 이용 목적과 사용자의 성격 5요인에 따른 아바타 추구 유형 연구
- 만화콘텐츠 교육을 위한 미국 대학 교과과정 분석 및 제언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전시공간 운영방안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 연구
- 아동용 러닝화의 완충성능 디자인 비교 연구
- 플렉서블디자인효과 조율을 위한 3D유닛패턴 디자인방법 체계화
-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의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소정체성 요소로서의 공공예술 활용이 문화마을의 경관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메타버스 전시환경내 알파세대를 위한 어포던스 요소에 관한 연구
- KANO 모델에 기초한 장부장난감의 사용자 수요 분석 연구
- 실내디자인 분야의 실감형 콘텐츠(AR/VR/MR) 비교분석 및 활용방안
- 메타버스를 위한 3D 디자인 시스템 분석 및 제안
- UI/UX 디자인 교육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NFT 가상패션의 담론과 디자인 표현 특성 연구
- 패키지디자인의 다의적 그래픽 표현이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상현실 게임 내 시각 및 촉각적 요소가 게임 사용자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디자인을 기반으로 지하철 서비스스케이프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뉴트로 패키지디자인의 감성요소가 소비자 구매심리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대학 도서관 내 협업 공간의 경험 디자인
- 대학 캠퍼스 네거티브 공간디자인 특성이 학생들의 스트레스 회복에 미치는 영향
- 고령친화 아파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중국 문구 브랜드의 효율적인 패키지디자인 강화에 관한 연구
- 여성장애인 생애주기 보조를 위한 생활밀착형 보조기기 제품개발에 관한 연구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의 매체 재현전략 연구
-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 고등학교 ‘미술 감상과 비평’ 과목 연계 색채 실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
-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수행사례 연구
- 인터랙티브가 적용된 스포츠 의류 전문점에 대한 연구
- 확장현실(XR) 기술을 적용한 공연예술 관한 연구
- 국내 감염병 현황 대시보드 디자인 패턴 분석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UX/UI 디자인 수업 과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