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이용수 8
- 영문명
- Aspects of the reception and the alteration of folksong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Focusing on Jabga(雜歌), Daehanmaeilsinbo(大韓每日申報)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최상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5호, 775~7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민요 <흥타령>은 남녀의 만남과 이별에서 발생하는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함으로써 흥과 한이 어우러진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노래이다. <흥타령>은 민요의 현장을 떠나 도시의 유흥공간에서 전문적 소리꾼들의 잡가로도 불렸다. 잡가 <흥타령>은 문학적 진정성이 약화된 관습화된 노래이지만, 많은 인기를 누렸던 노래이다. 대한매일신보 <흥타령>은 가창되지 않는 개인작이고 계몽적 목적으로 창작되었지만, 여러 가지 전통 시가 장르와 결합하여 독특한 형태의 다양한 시가를 창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흥타령>은 기존의 시가 장르들과 자연스럽게 용해되고 다양한 창작이 이루어져 19세기말·20세기초 문학사의 소용돌이 한가운데에서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 내는 활력소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folksong is a song with the unique atmosphere that fun and regrett harmonized with by expressing emotion effectively to occur by an encounter and the separation of the man and woman. left the spot of the folk song, and it was sung with Jabga(雜歌) of professional singers in the entertainment space of the city. Jabga is the song that the thruth of the literature was made weakened and it was made custom. But It was the song which enjoyed much popularity. Daehanmaeilsinbo was personal product and was created for an enlightening purpose that it was not sung song, but It was combined with various traditional poetry genres and made various poetrys of unique forms newly. In other words, was dissolved with existing poetry genres naturally, and various creation makes ends meet. Therefore, I can evaluate did an animator duty to cook up a new flow in the whirlpool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0f 20th century
목차
1. 머리말
2. 민요 <흥타령>의 형성과 정서 표출 양상
3. 잡가 <흥타령>으로의 전승과 변개 양상
4. 대한매일신보의 <흥타령> 창작과 변개 양상
5. 마무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 연구
- 담화 유형별 위계 설정
-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자기소개서 표현 양상 연구
- 지하철 廣告 言語의 誤用 실태와 개선 방안
-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소설문학 연구(1)
-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한계
- ‘인간’ 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에 대하여
- 형용사 반복 구성에 대한 연구
-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표지 실현 양상과 기능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문단 중심의 의미연결 지도 방안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그를 둘러싼 환상
- 소외된 인물의 아이러니와 이질적 교감
- TV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의 시각적 이미지 스토리텔링
- 서사민요 <친정부음 노래>의 서사구조와 향유의식
-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 <南怡將軍實記>의 창작 방법과 작자의식
-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 ‘맥락’의 중학교 개정교과서 수용 양상 연구
- 《토지》의 서희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의 인물 연구
-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 토론을 활용한 작문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시론
- 蔡萬植의 『女人戰紀』論
- 한국어 祖語의 “秋聲”系 한자 창제론
-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 국어과 사고 영역 체계화 연구
-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雁帝本紀와 花王本紀의 비교
-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