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subject of Education of Communicative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승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85호, 119~13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가 살아가는데 의사소통만큼 중요한 것도 드물다. 말 한 마디로 상대의 마음에 고통을 주는가 하면, 말 한 마디로 천 냥 빚을 갚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중요한 의사소통 교육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제안하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의 이론적 고찰과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009학년도 입학자부터 적용되는 교원자격 검정에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이 [의사소통교육론]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게 되어 있다. 외국어 교육의 의사소통과 모국어 교육의 의사소통 교육은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에서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의사소통이라는 공통점도 있겠지만 가르치는 내용의 수준은 마라톤과 걸음마만큼이나 차이가 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언어는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 속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활을 알아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외국어를 정확하게 알기란 어려운 것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지시대상, 그리고 언어 기호를 총체적으로 고려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섬세하게 고려되어 쓰여진 것이 문학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명작에는 인생이 무엇이고 우리가 바람직하게 살아가는 것이 무엇인가가 풍부하게 들어있다. 의사소통 교육도 결국은 바람직하게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화법이 말만 번지르르하게 하는 인간을 기르는 것이 아니듯이 의사소통 교육도 결국은 바람직한 인간으로 성장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은 모국어 화자들에게 의사소통 교육을 하는데 매우 적절한 자료라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looks into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entertains one of its impli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Starting with the freshmen in 2009, “Communication Education” became a required course for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here ar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betwee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and that for foreign language speakers. They both share the ultimate goal of successful communication, yet they greatly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ve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volved. Communicative competence comprises cultural and sociolinguistic abilities in addition to the basic linguistic competence. Therefore, education of communication in foreign languages faces far more serious challenges than education of native communication. We can carry out communication successfully only when we properly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n one hand and between the linguistic signs and the referents on the other. Literature provides excellent materials to study such components of communication with. Literature can teach us not only how to speak but also what to speak. Communication education must contribute to better human relations and ultimately better living. Therefore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aim to teach how to advance human relations through communication, rather than to teach mere communication skills. And literature makes excellent teaching materials for communication education, especially for native speak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의사소통 교육의 이론적 고찰
Ⅲ.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
Ⅳ. 모국어 의사소통 교육의 과제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구사된 어휘의 상징 연구
- 담화 유형별 위계 설정
- 2007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 검정 체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자기소개서 표현 양상 연구
- 지하철 廣告 言語의 誤用 실태와 개선 방안
-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소설문학 연구(1)
- 텍스트 중심 교육과정의 의의와 한계
- ‘인간’ 어휘장의 하위 분류 기준에 대하여
- 형용사 반복 구성에 대한 연구
- 발표 담화에 나타난 담화 표지 실현 양상과 기능
-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원리
- 외국어불안과 교실상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문단 중심의 의미연결 지도 방안 연구
-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관련 교과서 반영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사회의 다문화주의와 그를 둘러싼 환상
- 소외된 인물의 아이러니와 이질적 교감
- TV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의 시각적 이미지 스토리텔링
- 서사민요 <친정부음 노래>의 서사구조와 향유의식
- 19세기말․20세기초 민요 <흥타령>의 수용과 變改 양상
- 『東國新續三綱行實圖』와 방언
- <南怡將軍實記>의 창작 방법과 작자의식
- 국어과 교육과정의 통합성 연구
- ‘맥락’의 중학교 개정교과서 수용 양상 연구
- 《토지》의 서희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스칼렛 오하라의 인물 연구
- 의사소통 교육의 현황과 과제
- 토론을 활용한 작문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시론
- 蔡萬植의 『女人戰紀』論
- 한국어 祖語의 “秋聲”系 한자 창제론
- 학교 문법 다시 쓰기 (3): 인용 표현의 횡적 구조 연구
- 국어과 사고 영역 체계화 연구
- 초등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적 요소 분석과 방향 연구
- 雁帝本紀와 花王本紀의 비교
-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