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L1 Japanese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선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503~5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습득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동사연결 구성은 연결어미 ‘-어’를 개재한 접속문, 동사결합 구성, 보조용언 구성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문법성 판단이 한국어 모어화자의 문법성 판단과 비교했을 때 연결구성의 유형별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문법성 판단에 숙달도 변인이 존재하는지 여부이다. 본 연구의 실험 참여자는 한국어 모어화자 30명과 31명의 중·고급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로 총 61명이었다. 실험 도구는 문법성 판단 시험으로 동사연결 구성을 포함하는 문장을 제시하여 문법성을 판단하고 오류문의 경우 오류를 수정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어 모어화자와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문법성 판단은 동사결합 구성의 일부와 보조용언 구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학습자들의 언어 숙달도에 따른 상 집단과 하 집단의 문법성 판단에서는 그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 동사연결 구성에 대한 교수를 초급에서 제공받지만 중급과 고급에 이르러서도 한국어 모어화자와는 다른 양상으로 이들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L1 Japanese speakers acquire Korean Serial Verb Constructions(SVCs). The SVCs in the current research were ‘V1+ -e + juda(V2)' constructions. The mechanism taken in the research to verify how the participants differentiated these SVCs were ‘-se’ insertion and V1+ honorific ‘-(u)si-’ addition.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61 in total, 30 Korean native speakers(NK) and 31 L1 Japanese speakers of Koreans(JK). JK showed the different grammatical judgment on Korean SVCs from NK. But the grammaticality judgments of the two proficiency group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JK low and the JK high.
목차
1. 서론
2. 한국어 동사연결 구성의 다단계성
3. 한국어 동사연결 구성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및 논의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