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이용수 7
- 영문명
- The Recognition of Multi-Reality through Novel Education: Focusing on Yun Heung-Gil’s 「The Rainy Seas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고정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309~344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실은 모두에게 단일하게 인식되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다. 현실은 어떻게 서사화되느냐, 다시 말해 사건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성격 규정하고 어떠한 형식으로 서사화시키느냐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소설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현실’ 역시 인식 주체와 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에 따라 한 작품 안에서도 현실의 모습은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독자는 자신의 현실 인식을 잠시 유보시킨 채 등장인물들의 관점에서 소설을 읽어 나가게 되는데 이 때 그들 각자의 관점에 따라 작품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층위의 현실을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독자는 작품 외부에서 바라보는 조망적 시선을 통해 작가의 현실 인식과 창작 의도를 추정하기도 한다. 작품에 대한 메타 인식적 접근을 통해 내용의 선택과 표현 방식에서 드러나는 작가의 현실 인식을 추정하는 것이다.
소설을 통해 독자는 다양한 관점에서 나타나는 중층적 현실을 인식하고 체험하게 되며, 이를 통해 자신의 경험과 사고의 틀을 뛰어 넘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설의 본질과 가치에 충실한 감상 교육을 위해서는 작품을 통해 독자가 중층적 현실 인식을 체험하고 그를 통해 자기 자신의 현실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영문 초록
Novel education needs to show the recognition of multi-reality instead of unify-reality. There is not a objective unify-reality. The reality varies with the subjects and their viewpoint. In other words, the reality is constructed variously. In novel, there are many subjects and many different viewpoints. So there are multi-reality in a story.
Novel readers recognize the world through the character’s viewpoint. And novel readers guess writer’s intention. Writer’s intention is revealed by his choice and arrangement of story. The vicarious experience through other’s viewpoint further expand the scope of reader’s thinking.
목차
1. 들어가며
2. 교육과정에 나타난 현실 인식의 비판적 검토
3. 소설 감상 과정에 나타나는 현실 인식의 중층성
4.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의 실제
5.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