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case study of establishing a system for dispatch and management of Korean teachers to secondary schools in Thailand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임형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403~43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태국 내 현지 중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의 시작을 태국 전역에 확대 실시된 2011년부터로 본다면 불과 2년이라는 짧은 시간이 지났다. 하지만 한국어교육의 성장과 한국어교육의 확산은 매우 빠르게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확산 뒤에는 태국정부 주도의 대단위 한국어교원 파견 요청과 이를 수용한 한국정부의 결단, 그리고 새로운 형태의 지원과 관리가 있었다. 2011년부터 실시된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은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형식에 있어서도 처음 시도되는 최초의 대단위 교원 파견 사업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어교원의 태국 현지학교 한국어교원 파견에 대한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2011년 태국 중고등학교에 파견되었던 한국어교원 54명에 대한 교육, 관리, 평가시스템에 대한 체계적인 사례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처음으로 시도된 관리 모델의 필요성을 설명하고자 하는 것으로 태국 현지학교 파견교원과 관련된 관리 모델에 대한 분석은 이후 유사한 사례를 가진 다른 나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이 될 것이고, 현지 교육기관에서 한국어교육의 확장과 안정적인 정착 그리고 발전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ocal Thai secondary schools has been proceeding only for 3-4 years. When the cases of model schools are excluded, the education only has 2 years of short history since 2010. However, the rapid growth and prolifer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expanded the scope of education. Behind such developments, there was a decision to dispatch large units of Korean teachers as well as a new form of support and management, all of which are led by the government. These factors have produced remarkable achievement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The dispatch program to Thailand, which came into effect in 2011, was the first large-scale dispatch that was not only the greatest in size, but also ground breaking in form.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Korean teachers dispatch program to local Thai schools. Then, it will systematically analyze a case on the train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54 Korean teachers dispatched to Thai secondary schools in 2011. This is to account for the necessity of the Online assistance system which was first tried during that program. The analysis on the supporting system for dispatched teachers in Thailand will provide a model which will be applicable to other countries with similar cases. It is also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suggests supporting measures for expansion, stabl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t local institutions.
목차
1. 서론
2. 태국 내 한국어교육과 교원 파견의 의미
3.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교육, 지원, 평가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