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research about practical factor of realizing digital tex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민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279~30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파워블로그 분석을 통해 디지털 텍스트의 기술적 구현 가능성과 실제 구현의 차이 현상과 그 원인에 대해 고찰했다. 블로그의 포스트와 파워블로거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두 가지였다. 첫째, 블로거는 인쇄 매체의 쓰기 관습과 경험으로 인해 블로그 쓰기에서도 문자 중심적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 둘째, 인쇄 매체를 재매개(remediation)하는 블로그의 특성으로 인해 블로거와 독자에게 가장 익숙한 인쇄 텍스트를 유사복원하는 암묵적 합의가 이루어진다는 점이었다.
디지털 텍스트의 구현에 관한 그간의 논의는 기술적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실제 구현은 사회·문화적 요인과 쓰기 주체의 쓰기 경험이라는 개인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문화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은 모두 언어중심주의 및 인쇄 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쓰기-읽기 방식과 밀접하게 연관되므로 디지털 텍스트에서 인쇄 텍스트의 유사복원이 이루어지는 것은 현재 문식환경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 매체에서도 언어중심주의가 여전히 지배적인 현재의 쓰기 환경을 충분히 감안할 때, 문식성의 재개념화와 관련된 논의의 방향이 새롭게 정립될 수 있다는 주장과 연결된다. 또한 아날로그 매체와 디지털 매체가 공존하면서 서로 모방·경쟁하는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과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과 심도 있는 고찰이 이루어져야만 문식성의 재개념화 논의가 내실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contemplated about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realizable possibility and reality situation in digital text through analyzing power blogs. The causes of this situation were two kinds ways. First, bloggers' awareness of blogging was bounded by logocentrism because of the custom and experiences of printed media. Second, blog mostly remediated the form and genre of printed media.
Previous arguments about realizing digital text were focused by technological possibility, but, truth realizing was decided by social/cultural factor and private factor of writing experience. Because these factors were conncected with logcentrism and existing written communication, it was natural consequence of quasi-restoration of printed tex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pport the opinion which have to renew the direction of discussion about reconceptualization of literacy, considering current writing/composition circumstance that logocentrism dominate powerfully digital media,
목차
1.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요인
2. 연구방법
3. 재매개의 대상과 이용자 인식의 선택적 친화성
4. 복합양식성의 실현 양상과 언어중심주의의 관계
5. 새로운 문식성 논의를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