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이용수 21
- 영문명
- Teaching-Learning Ways of Inter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onvergenced-Type Grammar Education in Multi-culture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5~46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모국어 학습자들이 지금여기 및 앞으로의 다문화 사회 속에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형 문법교육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모색하는 작업이다.
연구 대상은 모국어 화자인 주류 학습자들이며, 방향은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상황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수용하고 생산해 내는 문화·영역 통합형 문법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문법교육이란, 문화를 중심으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지식과 정서와 수행성을 동시에 총체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변화된 영역을 의미한다. 이럴 때라야만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상황과 사회문화적 맥락이 언어 속에 들어올 수 있으며, 그것은 곧 국어교육이 다문화 사회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선봉이 될 가능성을 열어 주기 때문이다.
이렇게 변화된 문법교육을 바탕으로 하여, 언어 자체의 단위적 지식을 넘어서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소통의 언어문화교육이 되게 하여 이론과 실제가 합일되는 국어교육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국어교육은 다문화적 상황을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패러다임을 통해 국어교육 내에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상호문화적 의사소통 능력이란, 정확하고 적합하게 언어를 조직하는 능력,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맥락에 맞게 표현하고 이해하는 능력,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평등하게 바라볼 줄 아는 능력, 원활한 대인관계를 통해 상대를 배려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여기서 우리는, 다문화 사회의 국어교육을 위하여 언어를 축으로 한 상호문화성의 중심 화두로 ‘문화’, ‘다양성과 평등’, ‘관계와 배려’, ‘정체성’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상정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언어 지식과 언어 활동을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수용·생산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평등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관계성과 배려심을 통해 정체성을 확립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finding possi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applications in the convergenced-type grammar education for students to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multi-culture society now and for ever. That is, the view of future which the grammar education are oriented in our school fields is an objective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getting toward. These are following below.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would have a role to lead changes of society through the integration in domai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fusion with culture Second, the communication and grammar as use would be basis for the inter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grammar education would gain a status, not analytic understanding or memorization about language, but the ideal medium for connecting human life and various culture.
Fourth, students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focused on culture, variety, equality, relationship, caring by an axis of language.
Fifth, cultural reciprocality, knowledge above domains, skill and attitude would be teach-learned by materials of text.
Sixth, the real works would be placed for get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group activities which teacher and learner cooperate with.
Seventh, three components would get together for cultivat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upplemented theory guidelines of curriculum and a detailed textbook projected by those curriculum, and the real class based on these curriculum and a textbook.
So the basic objectives of the grammar education suitable to multi-culture society follows below.
“This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competence and attitude to make identity through reciprocality and caring, by acknowledging cultural varieties and cultivating principle of equality with consuming and producing critically and creatively language knowledge and language activity which is concerned sociocultural context.”
목차
Ⅰ. 들머리
Ⅱ.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목표와 방향
Ⅲ. 통합형 문법교육의 교수-학습 방안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