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undergraduate public speakers’ acceptance of peer feedback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민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47~8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화법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 연설 화자의 동료 피드백 수용에 관한 반응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 연설 화자들에게 동료 피드백을 제공하고, 그에 대한 소감문을 받아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 연설 화자들은 긍정적 피드백, 부정적 피드백 외에 양면적 피드백을 따로 구분하며, 동료 피드백을 바탕으로 자신의 연설 수행을 반성적으로 평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대학생 연설 화자들은 피드백 유형에 상관없이 동료 피드백을 ‘완전히 수용한 경우’, ‘수용하지 않은 경우’, ‘부분적으로 수용한 경우’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분적 수용일 경우, 다시 절충적으로 수용하거나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더불어 동료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은 원인을 탐색한 결과, 자신의 연설 수행에 대하여 자기 효능감이 높거나 자기 확신이 강한 경우에 피드백을 수용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은 동료 피드백을 통해 부정적 영향보다 긍정적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cceptance of peer feedback of undergraduate public speakers' for the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 of peer feedback in speech communication teach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 to peer feedback of undergraduate public speakers' via a qualitative analysis program, the conclusion is as follow:It is revealed that undergraduate public speakers categorize positive, negative, and ambivalent feedback separately and tend to evaluate their speeches introspectively based on peer feedback. Also, regardless of feedback type, it is confirmed that undergraduate public speakers show “complete acceptance,” “no acceptance,” or “partial acceptance.” In the case of “partial acceptance,” feedback was later either eclectically or selectively accepted. Moreover, when the causes for not accepting peer feedback were examined, it became clear that those with high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did not accept feedback. Lastly, it is confirmed that the undergraduate students are more positively than negatively influenced by peer feedback.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