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ment in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조재윤 엄해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149~18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학 이해 과정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반응 중심 학습 모형과 가치 탐구 학습 모형에 대한 비판적인 고찰을 바탕으로 새롭게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약칭: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은 ‘반응하기 → 이해하기 → 명료화하기 → 평가하기 → 자기화하기’의 5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문학을 즐겁게 접하고 편안하게 반응을 유도하는 감성이 중심이 되고, 2~3단계는 작품을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해석하며 설명하는 인지가 중심이 되고, 4단계는 인지와 감성이 균형을 이루는 평가하기가 이루어지며, 5단계는 문학의 반응과 가치를 자기화하는 인지와 감성이 통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이 모형은 전체적으로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인지와 감성 융합 학습 모형’을 문학 독서 수업에 적용한 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보고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This study explored a theory on the literary understanding process, and developed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based on a critical consideration on response based learning and value inquiry learning.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is composed of 5 stages in ‘responding → understanding → clarifying → evaluating → self-process.’ In Stage 1, sensibility becomes the center, which happily faces literature and induces response comfortably. In stages 2~3, cognition becomes the center, which analytically understands, interprets, and describes a work. In stage 4, cognition and sensibility are balanced to be evaluated. Stage 5 is the one that is integrated cognition and sensibility, which allow response and value in literature to be self-process.
A research is desired to be performed in the future, which reports process and outcome that applied ‘literary reading learning model with convergence of cognition and sensibility’, which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 literary reading class.
목차
Ⅰ. 서론
Ⅱ. 문학의 이해와 이해 과정 모형 고찰
Ⅲ. 문학 독서 교수·학습 모형 고찰
Ⅳ.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