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이용수 9

영문명
Analysis on the Contents of Debate Education in 2007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for High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김주환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93호, 215~24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 단원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토론 관련 교육내용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고등 국어 16종 교과서의 토론 단원을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단원에서 성취기준의 통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부분의 교과서가 성취기준별로 소단원을 구성해 통합의 취지를 살리지 못했다. 성취기준별로 소단원을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통합적 기획이 필요하다. 둘째, 토론 자료의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가 많았다. 쟁점이 불분명한 문학 텍스트를 실은 교과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지 않은 고전 자료를 실은 교과서가 있었다. 또한 사회적 쟁점을 다룬 토론 자료의 경우 대부분 집필진의 창작으로 구성되어 토론의 실제적 맥락을 살리지 못하였다. 따라서 토론의 실제적 상황이 잘 드러나 있는 토론 자료와 토론교육을 위한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활동의 경우 논증적 텍스트 읽기에 치중되어 있었다. 학습활동의 질문과 활동을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의 활동이 논제와 하위 쟁점을 분석하고 주장과 반론의 근거를 파악하는 데 집중되어 있었다. 토론의 개념과 규칙, 전략, 태도에 대한 내용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체계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debate units in 2007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for Highschool Students to suggest the way of improving debate educatio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integrating achievement standards fails in higher unit level of textbooks. Departing from the purpose of integration, most debate units include a single achievement standard. For students' effective learning debate, integrating multiple achievement criterion is needed, not simply listing them. Second, selected debate topics are inappropriate. Debate units are composed with literature texts hard to realize what to debate and classical literature texts not concerned about students' interests. Some units include social debate issues, which are artificially constructed stories for student, so they cannot reveal the real life context in which students live. Authentic debate materials and developing materials for debating are necessary. Finally, when it comes to leaning activities, there is an emphasis on reading demonstrative texts. With analysis on questions and exercises in learning activiti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m focus on distinguishing topics from sub-topics and understanding grounds of argument/counterargument.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and textbooks are needed to contain the concept, rule, strategies, and attitude of debate.

목차

Ⅰ. 서론
Ⅱ. 토론교육의 목표와 내용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주환. (2012).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새국어교육, (), 215-244

MLA

김주환.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새국어교육, (2012): 215-2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