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이용수 12
- 영문명
- Transmission Styles of HeoNanseolheon's Historical Figures in Stories: Focused on the 'character figuration and structure' in children's book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명옥 박혜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375~4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글의 목적은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이 어린이 책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는지 형상화된 인물과 구성을 중심으로 살피는 것이다. 어린이 책에서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의 작시 나이는 두 견해로 나뉘어 전승되고 있다. 일부 책은 8세에 글을 지었다는 설을 수용하고 일부는 어른이 된 후 생애 마지막에 지은 것으로 전승하고 있다. 즉 8세 작시설과 27세 작시 설에 따라 인물이야기의 전기적 사실이 달라지고 있었다. 시의 해석에도 차이가 있는데, 허난설헌의 천재성을 부각하는 책에서는 8세설을 수용하고 있었으며, 생의 마지막에 지은 것으로 본 견해는 허난설헌이 자신을 위로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허난설헌의 일화는 허난설헌이 자기 주도적이고, 대범하며 자의식이 강한 인물로 나타난다. 그러나 어린이 책에 나타난 허난설헌 상은 순종적이며 나약한 모습의 현모양처 상과 여성주의 관점에서 시대에 불화하는 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허난설헌의 상은 오늘날의 시각으로 조선 시대를 재단하고 인물의 행위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승자가 문헌에 덧씌워진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봉건이데올로기를 고려하지 않고 글자 그대로 해석하거나 오늘날의 시각으로 당대를 해석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igured characters and structures to identify how HeoNanseolheon's life and literature were transmitted to children's books. There are two opinions about the age of HeoNanseolheon when she wrote “GwanghanjeonBaekokruSangryangmun.” Some said it was written when she was 8 years old, and others when she nearly faced the end of her life. In other words, the biographical fact about the characters in her stories varied on what age she might have written it, 8 years old or 27 years old. The interpretation of her poem also varied on it as well. The literature emphasizing the genius of HeoNanseolheon accepted that she wrote that book when she was eight. Other literature described that she wrote it when she nearly faced the end of her life to comfort herself.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life and literature of HeoNanseolehon transmitted on her children's books focused on a point of view. The literature of HeoNanseolheon described a Confucian philosophy and partisan point of view. Such description is divided into favorable comments and worst criticisms on the poem of HeoNanseolheon. “Gwanghanjeonbaekeokrusangryangmun” was criticized by Yi Sugwang as a forgery for bringing in six kinds of children's books. However, there were two kinds of opinion based on the age of HeoNanseolheon. Some books accepted the opinion that the book was written by HeoNanseolheon at the age of eight and other described that it was written when HeoNanseolheon was a little older.
The anecdote on HeoNanseolheon showed that the author was self-initiated and broad-minded and had a strong sense of identity. However, HeoNanseolheon was dutifully weak, was a good wife not to mention a wise mother in some of children’s books, and is in discord with the times in accordance to the feminist point of view. Such discrepancy in the description of HeoNanseolheon was caused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time by using the present point of view or interpretation of the letter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s of her time when interpreting the literature.
목차
1. 들어가기
2. 허난설헌의 삶과 문학
3.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서술방식
4. 나가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