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이용수 11
- 영문명
- The study of grammar education in the utilization of a dialec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옥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93호, 245~27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현행 문법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해결 방안을 방언 자료의 활용에서 찾고자 한다. 현행 문법교육의 목적은 한국어의 규범문법을 학습하는 것에만 중점을 두는 듯하다. 그러나 이는 언어 연구의 결과물에 대한 지식 습득에 불과하다. 문법교육은 규범문법에 대한 이해는 물론 언어의 내적 질서를 분석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을 키우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다양한 방언 자료의 활용은 문법이 학습의 대상이 아닌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논문은 현행 문법교육에 대한 검토와 방언 자료의 활용 방안으로 구성된다. 먼저 2장에서는 문법교육의 현황과 그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문법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문법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위해 교육과정의 변천은 물론 현행 문법교육의 내용 및 특징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문법교육에서 방언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논의 범위는 ‘파생어 형성’을 대상으로 하며, 방언 자료 활용의 실제는 강원도 강릉방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problem of grammar education in high school textbook, and then to manipulate a dialect as a solution.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emphasizes prescriptive grammar. However, this is the only acquirement of knowledge about the result of researches. The essence of grammar education is to develop the capability to judge immanent language system as well as to understand prescriptive grammar. For this reason, the utilization of a dialect is not the object of studying but that of research.
This thesis constructs examination about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of a dialect. This study is conducted as follows: Section 2 is suggesting a scheme of the problem by 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For the critic investigation, I analyze the distinctive feature and the contents of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as well as the curriculum. In section 3, I will search a various plan to use a dialect material in the grammar education. The sphere of the discussion is derivation, and the utilization of a dialect is in the center of Gangneung dialect.
목차
1. 머리말
2. 문법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방언 자료의 활용방안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허난설헌 인물이야기 전승 양상
- 태국 중고등학교 한국어교원 파견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 상호문화적 국어교육의 교수-학습 방향 모색
- 디지털 텍스트를 구현하는 실제 요인에 관한 고찰
- 학문목적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읽기 교수요목 구성에 관한 연구
- 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 초등 쓰기 교육에서의 고쳐쓰기 교육의 실태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결합형 문법항목의 선정 방안
- 대학생 연설 화자들의 동료 피드백 수용 양상에 관한 질적 고찰
- 한국어교육을 위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어순 대조 연구
- 고등학교 선택과목 변천에 관한 소론
- 방언 자료를 활용한 문법교육 방안
- 인지와 감성이 융합된 문학 독서 학습 모형 개발 연구
- 고등 『국어』 교과서의 토론교육 내용 분석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동사연결 구성 습득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인 교육 방안 연구
- 김동인의 『김연실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