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이용수 124
- 영문명
- Middle School Students' Trajectory of Cooperative Competence: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s,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모화숙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393~4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협동역량의 종단적 변화를 살펴보고, 시간의존변수인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동일 시점과 다음 시점의 협동역량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중학생 패널 2,590명의 1차에서 3차까지 자료를 대상으로 협동역량 변화양상에 적합한 잠재성장모형을 확인하고, 협동역량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협동역량은 감소하였으며, 초기 협동역량이 높았던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해 더 빠르게 감소하였다. 둘째, 협동역량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및 교사관계의 동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지연효과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만 유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동역량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과 협동역량에 대한 부모, 또래 및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trajectory of cooperative competence in middle school and examined if time-varying covariates - parent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s,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 predict contemporary and 1-year lagged cooperative competence. Methods: samples from 2,590 seventh-grade students draw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were examined to ascertain to what extent the time-varying covariates (parenting behavior, peer relationship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have on contemporaneous and lagged effects. Results: First, the cooperative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decreased over time, and the decrease rates were steeper for those who showed a higher level of initial cooperative competence. Second, the contemporaneous effects of three time-varying covariates on cooperative competence were significant, while only peer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lagged effect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s an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competence and calls for future interventions to promote students‘ cooperative competen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