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이용수 115

영문명
Multidimensional IPA Analysis of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현욱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93~11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9년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혁신학교 정책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다차원정책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학교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5년부터 혁신학교를 운영한 A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차원 정책분석방법에 따라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영역으로 설정하여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민주적 운영이 가장 시급하고 집중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인식하였다. 더불어지역사회와 연계에 대해서는 중요성과 실천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고,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서 직원과학부모의 참여와 역할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직들의 역할이 모호함을 지적하였고, 무의미한 평가를 지향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결론 교사들의 인식은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다. 학교공동체를 지향했던 혁신학교 정책에서 지역사회와 일부 구성원은 배제되어 있고, 민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또 다른 혁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that has spread nationwide since 2009 through Cooper’s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etho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was discuss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in area A, which has been operating the Innovation School since 2015. By applying a four-dimensional model as a tool for evaluating policy,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as divided into normative-dimension, structural-dimension, constituentive-dimension, and technical-dimension domains. Based on this,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democratic management was recognized as the most urgent and intensive factor to be supplement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rated the lowest for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staff and parents in the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School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teachers’ perceptions pointed out the ambiguity of the roles of school supervisors and demanded that the meaningless evaluation be avoided. Conclusion: Teachers' perceptions can be perceived as a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on School. The local community and several school members were excluded from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hich was aimed at the broader school community. The question of democracy was also being raised, and this area can be evaluated as requiring another innovation.

목차

Ⅰ. 서론
Ⅱ.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이론을 통한 접근
Ⅲ. 연구방법 및 대상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욱. (2022).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교원교육, 38 (6), 93-110

MLA

김현욱.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교원교육, 38.6(2022): 93-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