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이용수 126
- 영문명
- Multidimensional IPA Analysis of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현욱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93~11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2009년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된 혁신학교 정책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다차원정책분석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학교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5년부터 혁신학교를 운영한 A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차원 정책분석방법에 따라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영역으로 설정하여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민주적 운영이 가장 시급하고 집중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인식하였다. 더불어지역사회와 연계에 대해서는 중요성과 실천력을 가장 낮게 평가하였고,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서 직원과학부모의 참여와 역할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직들의 역할이 모호함을 지적하였고, 무의미한 평가를 지향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결론 교사들의 인식은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다. 학교공동체를 지향했던 혁신학교 정책에서 지역사회와 일부 구성원은 배제되어 있고, 민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또 다른 혁신을 요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that has spread nationwide since 2009 through Cooper’s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ethod. Based on thi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Innovation School was discuss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in area A, which has been operating the Innovation School since 2015. By applying a four-dimensional model as a tool for evaluating policy,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as divided into normative-dimension, structural-dimension, constituentive-dimension, and technical-dimension domains. Based on this,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democratic management was recognized as the most urgent and intensive factor to be supplemented. In additi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rated the lowest for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participation and role of staff and parents in the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School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And teachers’ perceptions pointed out the ambiguity of the roles of school supervisors and demanded that the meaningless evaluation be avoided. Conclusion: Teachers' perceptions can be perceived as a threa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on School. The local community and several school members were excluded from the Innovation School policy which was aimed at the broader school community. The question of democracy was also being raised, and this area can be evaluated as requiring another innovation.
목차
Ⅰ. 서론
Ⅱ.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이론을 통한 접근
Ⅲ. 연구방법 및 대상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