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이용수 207
- 영문명
- The Meaning of Teaching Practicum on the Growt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a Cooperating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정표 서순식 정선미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육실습 경험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해 한초등교사의 교생으로서 그리고 실습 지도교사로서 양가적 경험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내러티브 탐구에 기반을 두고, 자전적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문서 및 기억자료, 면담 등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J의 교육실습 경험을 이야기화하고, 다시 3명의 공동연구자간 협력 논의를통해 J 개인의 경험적 의미를 실습 지도교사 공통의 경험으로 확장시켰다. 연구결과 그 결과, J의 내러티브는 교육실습이 예비교사가 교생으로서 학급에서 관계 맥락의 중요성을이해해가는 과정이며, 이와 함께 실습 지도교사는 학급이 곧 자신임을 인식하고, 학급담임으로서 학급내⋅외의 복합적인 관계를 조율하며, 초등교사 전문성을 성장시켜가는 과정임을 드러내었다. 결론 따라서 초등교사 양성대학은 양성 목적에 맞게 교육실습을 학급담임 역할 습득 중심으로 운영해야하며, 실습 지도교사 역시 교생이 자신을 통해 학급담임 역할을 제대로 습득할 수 있게 도와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eaning of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on the growth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study the experience of a Cooperating Teacher.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 of a elementary school teacher ‘J’ using documents, memories, and interviews was drawn upon, and the meaning of J’s experiences were discussed. Results: As a result, J's narrative revealed the following meaning. Teaching Practicum is a process for pre-service teacher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context in the class. At the same time, it was revealed that a Cooperating Teacher recognizes the class is herself, so she has to accurately coordinate well complex relationship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 as the self-contained classroom teacher. This is the proces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lusion: Therefore, teacher training colleges should operate the Teaching Practicum in accordance with the original purpose by focusing on learning the role of a self-contained classroom teacher, and a Cooperating Teacher should also help ‘student teachers’ acquire the role of a self-contained classroom teacher properl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J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학급과 관계 맥락의 중요성 이해하기
Ⅳ. 초등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의 의미: 관계 생성을 통한 학급담임 역할 인식하기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