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이용수 85
- 영문명
- A Literature Review on Adaptive Practice of Teachers: Focusing on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희경 김예진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341~3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개념 및 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위해 최근 10년간 출판된 관련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교사의 적응적 실행의 특징과 관련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과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ERIC에서 검색된 최근 10년간 출판된 적응적 실행 관련 논문 총 54편에 대해 적응적 실행의 정의, 요인,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논문들에서 나타난 적응적 실행의 정의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첫째, 교사의 적응적 실행은 새롭고 불확실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은 교수학습 상황이나 개별 학습자의 다양한 반응에 대응하여 학습을 돕기 위해 발생하며, 애초의 수업계획과 전략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변화를 시도하는 교사의 능동적인 조절 행동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적응적 실행을 위해 중요한 교사 요인으로는 반성적 사고, 유연성과 그리고 교사의 지식과 경험 등이 필요하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획일적인 교육정책이나 평가체제에서는 적응적 실행이 제한되며, 개방적이고 다양한 시도를 지원하는 환경에서 촉진된다. 셋째, 교사의 적응적 실행은 학생에게는 학습 성취의 향상과 수업에 대한 흥미와 참여를 제고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교사에게는 전문성과 평생학습 능력의 향상 그리고 교사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교사의 적응적 실행은 교사의 중요한 전문성영역 중 하나이다. 이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예측불가능성을 가진 교육환경의 본성을 이해하고 성찰적 사고와 유연성을 키울 수 있으며 다양한 도전을 통해 적응 사례의 레파토리를 쌓을 수 있는 전문성 계발의 기회가 중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paper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published in the last ten year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concept and factor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s fo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daptive practice and related factor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fifty-four papers on adaptive practices published in the last ten years searched in ERIC database were analyzed for an adaptive practices’ definition, factors, and effects, and the definitions of adaptive practices were analyzed with network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eachers' adaptive practices occur to help learning in response to new, uncertain, or non-routin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or to individual learners' various responses. This could be viewed as the active controlled behavior of teachers. Second, reflective thinking, flexibility,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eachers are required as important teacher factors for the adaptive practices of teachers. As for environmental factors, adaptive practices are limited in a uniform education policy or evaluation system, and are promoted in an environment that is open and supports various attemp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daptive practices help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and enhanc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lass, and it was helpful for teachers to improve expertise and lifelong learning ability, and to establish a teacher's identity.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adaptive practice of teachers is one of the important areas of teachers’ expertise. To further improve in this area,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unpredictable educational environments,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and flexibility, an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at can build a repertoire of adaptation cases through various challe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