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이용수 341
- 영문명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rofessional Capital and Self-Efficacy: Based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임선빈 강충서 모영민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293~31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교사의 전문적 자본 중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이 세 가지 유형의 교사효능감(학생참여, 교수⋅학습, 학급경영)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이 관계가 밀레니얼과 비(非)밀레니얼세대 간에 어느 정도로 다른지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TALIS 2018자료 중 한국의 중학교 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 사례 수는 2,931명이었으며, 학교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여 세대 변수와 두 전문적 자본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개인 및 학교 특성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교사의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은 세 가지 교사효능감(학생참여, 교수⋅학습, 학급경영)과 모두 유의하게, 그리고 긍정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둘째, 세대와 전문적자본 간 상호작용 효과는 교수⋅학습 효능감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셋째, 교수⋅학습 효능감에 대해서 밀레니얼세대는 인적자본에 더 강하게, 그리고 비밀레니얼세대는 사회적 자본에 더 강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교사의 인적자본 축적을 위한 교원정책 강화, 사회적 자본 활성화를 위한 전문적 협력 활동 지원, 교사의 세대별 특성을 고려한 지원방안 모색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study examines how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among teachers' professional capital are related to three types of teacher self-efficacy (student participation, instruction, and class management), and investigates to what extent the relationships vary between millennials and non-millennials generations. Methods: Using the TALIS 2018 data, which provides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middle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we conducte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chool fixed effect model.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even after controlling both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teachers'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were positively related to all three types of teacher self-efficacy. Nex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eration and professional capital is significant only for instruction self-efficacy. The millennials were more strongly related to human capital, and the non-millennials we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social capital when it comes to instruction self-efficac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ccumulating teachers' human capital, supporting professional collaborative activities to revitalize social capital, and considering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millenni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