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이용수 126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rformance in Educational ODA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양지윤 김현진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321~33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교육 ODA 경험을 탐색하여 수행의 특징을 분석하고 교사의 교육ODA 참여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교사들은 교육 ODA 경험에서 어떠한 수행의 특징을 보이는가?’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교육 ODA에 2년 이상 참여하고, 참여 후에도 관련 분야 연구 및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현직 교사 5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하여 질적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총 세 개의 영역에서 총 열 가지 수행의 특징을 주제어로 도출하였다. 즉, 기초 영역에서 봉사에 대한 꾸준한 관심과 경험, 안주하지 않고 새로움울 추구하는 도전이라는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수행 전반 영역에서 도출한 주제어는 건강한 자기개념으로 수행 완수, 교육 전문성의 유연한 변형과 적용, 이문화 소통을 위한 매체의 선택과 활용, 주변과의 우호적 관계 형성 및 실수에서 발견하는 성찰과 다짐이다. 수행 후 영역에서는 더 넓어진 시선으로 이해, 지속적 연구와 경험의 확장, 경험과 다짐의 외현화의 주제어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 교육 ODA 참여 교사의 수행에는 ODA 교육전문가와 유사한 점 뿐만 아니라 고유한 특징도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 ODA 교육전문가 및 교사의 역량모델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performance through educational ODA experiences. Methods: Five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educational ODA for more than two years and who are continuing their research and activities in related fields after participation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ten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s themes were derived in a total of three domains. In the basic area, the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constant interest and experience of service, and the challenge of pursuing new things without being complacent. Themes during performance are performance completion with a healthy self-concept, flexible transformation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expertise, selection and use of media f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formation of friendly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reflection and commitment found in mistakes. After completion of projects, characteristics such as understanding with a broader perspective, continuous research and expansion of experience, and externalization of experience and commitment emerged.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formance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educational ODA shows similarities with ODA educators, but also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educational OD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