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이용수 184
- 영문명
- An exploration for evaluation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경원 박영주 김완수 강희원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237~2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제안하는 평가의 방향과 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평가의 특성을 파악하고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나타난 평가 방향 및 방법의 세부 내용을 파악한 이후 그 특징을 세 가지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평가는 ‘학습자의 주도성 강화를 위한 평가’,‘역량강화실효적 도덕함 중심의 평가’,‘도덕성 형성을 위한 다중중첩의 평가’를 지향하고 있다. 결론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서는 3차원 내용체계의 구성을 통해 ‘학습자의 주도성 강화를 위한 평가’를 강조하면서 기존 교육과정이 노정하고 있는 학습자의 수동성을 극복하고 도덕적 문제상황에서의 능동적인 참여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리고 ‘역량강화 실효적 도덕함 중심의 평가’를통해 도덕함의 실천 원리를 평가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실천과 연계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더불어 학습자의 개성과 개인차를 고려하면서 평가 방법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다중중첩의 평가를 제안하고 도덕성형성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and to propose a more developmental direction by analyzing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valuation propos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draft. Methods: Following analysis of the details of the evaluation direction and method shown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draft, the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into three areas. Results: Research revealed tha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draft aims to have ‘evaluation that strengthens student agency’, ‘evaluation that strengthens capability and effective doing morals’ and ‘evaluation of multiple overlap for morality formation’. Conclusio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draft emphasizes ‘evaluation that strengthens student agency’ as an initiative through the composition of a three-dimensional content system, by overcoming student's passivity and seeking active participation in moral problems. And Through the ‘evaluation that strengthens competence and effective doing morals’, the principles of ‘doing morals’ are also actively reflected in the evaluation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linked to practice. In addition, while considering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the draft proposes an evaluation of multiple overlapping that secures the diversity of evaluation methods and pursues the formation of mora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서 평가
Ⅲ.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서 평가에 대한 분석 준거
Ⅳ. 공개된 시안에서 평가에 대한 분석
Ⅴ. 정리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