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이용수 290
- 영문명
- A Study regarding Improvement of the CQI Program in Medical School based on the CIPP Eval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애화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131~15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의과대학에서 운영하는 교육의 질 개선(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검증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20학년도 CQI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자 72명을 대상으로 CIPP 평가모형 기반설문도구를 개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황평가 측면에서는 CQI 프로그램의 목적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나 프로그램 참여 조건 및 지원체계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입평가 측면에서는 CQI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지원 시설은 만족하는 편이었으나 해당 프로그램의 참여도와 자료 제공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정평가 측면에서는 CQI 프로그램 운영계획 및 진행 일정은 현상 유지와 관리만으로 충분하다고 나타났다. 넷째, 산출평가 측면에서는 CQI 프로그램이 학생교육과 의학교육역량 강화에는 도움이 된다고 나타났지만, 연구활동 도움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CQI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목표 설정, 운영 계획및 실행, 성과 평가와 환류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medical schoo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CQI) program and to explore ways for improvement.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eventy-two professors who participated in the 2020 CQI program for developing a CIPP evaluation model-based survey too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t-test, One-Way ANOVA, and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using SPSS. Results: First, in the context evaluation stage, the purpose of the CQI program was fully recognized but the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 support system needed to be improved. Second, in the input evaluation stage, the support facilities for the operation of the CQI program were satisfactory, but the level of participation and data provision of the program were found to need improvement. Third, in the process evaluation stage, it was found that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status quo was sufficient for the CQI program operation plan and schedule. Fourth, in the product evaluation stage, it was found that the CQI program was helpful in strengthening student education and medical education competency. However,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was needed to help research activities. Conclusion: Following combining these results, a way to improve the CQI program was suggested in terms of goal setting, operation plan and execution,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의과대학에서 의공학 융합교육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
- 고차원적 사고 유형 과제에 대한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생성형 AI 피드백의 비교
- 사회적 네트워크 관점에 기반한 학교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모습에 대한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