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이용수 53
- 영문명
- Expering Pansori Application Scheme in Chines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ake the 「Jeok Byuk Ga」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황정봉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38권 제6호, 157~17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조선어문 과목은 중국 조선족 학교에서 학습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다. 조선어문과목에서는 다양한 고전문학 작품을 통해 전통문화를 가르쳐왔는데, 이중에 민족의 특별한 전통예술인판소리는 없었다. 본고에서는 중국 조선족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판소리, 판소리 사설, 판소리계 소설을 구분할 수 있고, 판소리의 특징 중 하나인 해학에 대해 학습하는 목적으로, 조선어문 수업에 도입할 수 있는 판소리 수업을 구상하였다. 연구방법 제 2장에 중국 고등학교 조선어문 과목의 고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본 후, 제 3장에서 교육에적합한 판소리를 찾아보았다. 「적벽가」는 삼국지연의를 토대로 당시 한국의 시대상에 맞게 재창작된 작품이다. 학습 부담이 많은 조선어문 학습자들은 비교적 익숙한 고전 소설 삼국지연의와 연계 학습할수 있는 판소리 사설 「적벽가」를 배우면 학습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 본고에서는 삼국지연의 제 50회에 해당하는 「적벽가」의 ‘화용도’ 대목을 읽기 내용으로 정하였다. 연구결과 학습 부담이 많은 조선어문 학습자들에게는「적벽가」가 제일 적합하다. 학습자에게 판소리, 판소리 사설, 판소리계 소설의 개념을 학습하고 구분하는 단계에서 부록에 수록된 「심청전」, 「춘향전」을 읽어볼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할 수 있다. 결론 「적벽가」는 중국 학습자들이 익숙한 삼국지연의를 토대로 재창작된 작품이므로 중국 조선어문학습자들은 비교적 적은 학습 부담으로 판소리, 판소리 사설, 판소리계 소설 해학에 대해 학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content on pansori in the textbook of Korean,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 of teaching the pansori Jeok Byuk Ga in the Korean language subject in China. Methods: After clarifying the scope of 「Jeok Byuk Ga」 that was suitable for education, and the learning that was appropriate according to the contents, such as ‘learning about contents’ by introducing classes, ‘learning about genres’ for acquiring genre knowledge, and ‘in-depth learning’ for thinking more deeply an activity was designed. Results: In ‘learning about content’, the research revealed that teachers can proceed through an entertainment activity called ‘playing with love’, and learning about a genre can be taught by comparing it with the genre of novels that students have already learned. In the ‘deep learning’ stage, activities can be conducted on diverse topics, such as thoughts on transformation, and a comparison of novels and pansori for learning 「Jeok Byuk Ga」. Conclusion: When teaching pansori students can learn more than 「Jeok Byuk Ga」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as there are many other learning activities besides those noted in this research. However, since 「Jeok Byuk Ga」is an important work noting the change of pansori, it is possible to hav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common ways of enjoying literature such as genre change, and learning 「Jeok Byuk Ga」is would be to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중국 조선어문 학과 고전문학 교육 현황
Ⅲ. 「적벽가」의 교육적 적용
Ⅳ. 「적벽가」의 교수⋅학습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원교육 제38권 제6호 목차
- 채점자질의 적용이 영어 자동채점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
- CIPP 평가모형 기반 의과대학 CQI 프로그램 개선 연구
- 교사의 교육 ODA 수행 경험의 특징 탐색
-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일고찰
- 교사의 전문적자본과 교사효능감 관계 분석
- 일반계 고등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 매개효과 검증
- 교육실습이 초등교사 성장에 부여하는 의미
- 한국, 중국, 일본의 초중등학교 비교과 교육과정 비교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ors Enacting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U.S. -Focusing on Their Dilemmas-
- 중국 조선어문 과정에서 판소리의 교육적 적용
- 이야기 그림책 활용 영어교육을 위한 독자 반응 분석 준거 구안
- 대학원 과정 특수교육 전공생의 학습장애 학생 지도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 국악교육 사상에 담긴 생태전환적 가치와 적용 방향
- 예비전문상담교사 교육실습 개선을 위한 델파이 연구
-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IPA 분석
- 초기 사립 혁신학교에서 혁신문화 정착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 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이 교사 몰입을 매개로 ICT 수업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교사의 적응적 실행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 중학생 협동역량의 발달궤적과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의 동시효과와 지연효과
- 대학교원의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