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이용수 681
- 영문명
- In 1895, traveling through time - Herbert George Wells’ “Time Machine” (1895)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안미영(Ahn, mi you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585~6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허버트 조지웰스(HerbertGeorgeWells1866~1946)의『타임 머신』(1895)이 지닌 문학사적의 의를 살펴보았다. 『타임 머신』(1895)을 비롯한 웰스의 과학 소설은 유럽 사회가도달한 진보와 발달의 소산이다. 19세기 말‘세계 여행’은 익숙하게 알고있는 지역과 국가를 초월하여 알고있지못한 공간에 대한 탐험(探險)이다. 웰즈는『타임 머신』(1895)에서‘시간여행’을 보여준다. 매주목요일 밤 <시간여행자>의 집에서 모임을 갖는다. 모임에서 <시간여행자>는 자신이 발견한 과학적 사실을 공유하고 토론 한다. 작품에서는 두 차례모임이 제시된다. 첫번째 모임에서는 <시간여행자>가 자신이 발명한 <타임 머신>을 소개하며, 두번째 모임에서는 <타임 머신>을 타고 미래를 탐험한 이야기를 들려 준다. 웰즈가『타임 머신』(1895)에서 보여준인류의 미래는 인류가 지나온먼과거와 동일하다. 그럼에도 변하지않아야 할 것으로 우정과 애정을 제시하면서 작품을 종결한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we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history of Herbert George Wells (1866-1946)’s “Time Machine” (1895). Wells’ science fiction, including “Time Machine” (1895), is the product of progress and development reached by European socie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orld travel’ is an exploration of spaces that are not known beyond familiar regions and countries. Wells shows Time Travel in Time Machine (1895). It meets every Thursday night at the Time Traveller’s house. At the meeting, The Time Traveller shares and discusses the scientific facts he finds. Two meetings are presented in the work. In the first meeting,
목차
1. 벨 에포크(Belle Époque)
2. 공간(Space) 여행
3. 시간(Time) 여행
4. 인류의 미래
5. 변하지 않아야 할 것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