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이용수 630
- 영문명
- Trends and Implications of Writing Feedback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공성수(Kong, Soungs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153~214쪽, 전체 6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10,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쓰기 피드백의 본질은 텍스트를 매개로 이뤄지는 대화적 교섭과 지식의 순환에있다. 상대방을 제압하고 승리하는데 목표가 있는 토론이나 논쟁과 달리, 피드백이란대상 글(쓰기)의 질적 향상이라고 하는 공통의 목표를 향해 합의를 만들어가는 소통적대화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여 년간에 걸쳐 이뤄진 글쓰기 피드백의 연구논문들은 이처럼 피드백 활동에 담긴 특별한 교육적 함의에 주목하면서, 피드백의원리와 방법들을 연구해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피드백의 연구사적 검토를 중요한 목표로 삼고, 지금까지 연구된 글쓰기 피드백 연구를 갈무리함으로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우선, 본고는피드백 연구의 큰 흐름을 ‘일반론’과 ‘구체론’으로 구분했다. 피드백의 일반론에 관한연구에서는, 글쓰기 피드백의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피드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인에 관한 연구들로 그 경향을 정리해볼 수 있었다. 피드백의 구체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들은 실제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전략에대한 연구, 동료 피드백에 관한 연구, 장르별, 전공별 피드백에 관한 연구, 그리고 비대면 시대의 온라인 피드백에 관한 연구로 큰 흐름을 정리할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주제로 펼쳐지고 있는 글쓰기 피드백의 연구는 그것이 바탕을 둔 글쓰기 교육의 철학, 혹은 그들이 제안하는 피드백의 전략과 교육적 함의를 살필 때, 몇가지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기도 했다. 가령, 최근에 이뤄진 대부분의 피드백 논의들은 ①피드백을 학습자의 역량을 자극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학습의 전략으로 간주하고, ②그중에서도 특히 사유의 발전 도구로서 글쓰기에 대해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피드백은 자연스럽게 ③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대화중심, 의사소통 중심의 피드백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일 뿐만 아니라, ④학생들이다양한 역량을 자극받을 수 있도록 돕는 조력자이면서,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스스로 찾아갈 수 안내하는 가이드로서의 교수자의 변화된 역할을 강조했다. 또한 이를위해 ⑤ 체계화된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 절차와 내용을 강조하면서, 과학적인 피드백의 원리와 방법을 수립하려 노력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문 초록
What is important in writing feedback is conversational negotiation and knowledge circulation. Unlike debates and arguments that have a goal of overpowering an opponent and winning, writing feedback is based on a communication to improve writing ability. So this research studied the history of theses on feedback and explored research trends.
First, this paper classified the large flow of feedback research into ‘general theory’ and ‘concrete theory’. Regarding the general theory of feedback, the trend is summarized by studies on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writing feedback and the factor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that influence feedback. Studies on the specific methodology of writing feedback summarized the major trends by researching specific methods and strategies, peer feedback, feedback by genre and major, and online feedback in the non-face-to-face era. Examining writing feedback for these various topics also showed importan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most recent feedback discussions tend to regard feedback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at can stimulate and develop learners’ competencies; they focus on writing as a tool for thinking development. Such feedback naturally emphasized the changed role of instructors as a guide for students to find their own thoughts, as well as a tendency to pursue dialogue- and communication-oriented feedback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addition, to this end, there was a tendency to try to establish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scientific feedback, emphasizing the principles, methods, procedures, and contents of systematic feedback.
목차
1. 서론 : 피드백의 개념 및 연구의 필요성
2. 기존 논의 검토 및 연구 방법
3. 글쓰기 피드백의 일반 이론
4. 글쓰기 피드백의 구체적 방법론과 실재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