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이용수 433
- 영문명
- Cognitive rereading of the stories of the Tapsang in Samgukyusa-for extension of its storyworld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황인순(Hwang Insoo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495~529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삼국유사』의 <탑상>을 이야기의 내부와 외부로 구분하고, 각각의 층위에서 불법과 불성이 인식되고 혹은 믿어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삼국유사』 의 편목들의 개별성에 주목하는 연구가 적지 않은 것처럼 『삼국유사』 ‘안’에서 말하는 방식 역시 일관적이라고만은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삼국유사』가 스토리의 ‘바깥’ 에서 발화될 때 이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주목해보고자 했다. 왜냐하면 『삼국유사』는 이미 『삼국유사』 안에만 내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파편화되어기억되는 과정에서 존재하고, 그 부분 집합들이 다 틀리거나, 부족하거나, 잘못된 해석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그 총합 혹은 그 끊어 ‘잇기’가 『삼국유사』의 해석 집합을 구성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뮈토스를 중심으로 한 이야기는 아마도 행위소환을 위한 이야기라고 보아도 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불교적인 맥락에서의 어떤 깨달음과 행위를 소환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이야기인 셈이다. 그러한 의도가 현대의 독자들에게도 동일하게 작동하는 것인가를 묻는 과정에서 가능한 해석의 가능성을 시도해본 것이다. 보다 면밀한 후고를위한 시론이지만 <탑상>의 커뮤니케이션을 기술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nalyzes the cognitive structure of stories of Tapsang in the Samgukyusa and classifies the structure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frames of the storyworld based on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he internal frame i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stories, and the external one is the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tories with the discursive spaces and the actual spaces.
Tapsang comprises stories that describe the sacred spaces; accordingly, the main focus of this essay lies in the relationship of the described spaces and their description. This way of rereading seeks to demonstrate how the subject recognizes these spaces within and outside the context of the stories.
Mythos in the sacred stories encourages readers to believe more than to understand the stories. Since the stories of Tapsang implies the sacredness,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Mythos is significant. However, the original interpretation of Mythos may not be as relevant for modern readers. This is the reason to focus on the cognitive aspect in the analysis of Tapsang, in an effort to deconstruct the Mythos. The re-reading of the Tapsang in the Samgukyusa is carefully attempted to use this modern and unfamiliar cognitive methodology.
목차
1. 서론
2. 『삼국유사』 <탑상>의 의사소통 구조
3. 『삼국유사』 <탑상>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의 내부에서
4. 『삼국유사』 <탑상>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의 외부에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