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이용수 592
- 영문명
- The Use and Potential of Critical Writing in Wri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이은미(Lee Eunmi) 신현규(Shin Hyungy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217~23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쓰기 교육에서 교육적 의미를 확장해 갈 만한 비평적 글쓰기의 새로운 지향을 제안하였다. 비평적 에세이와 패러디 글쓰기, 매체 활용 비평이 그 대안이될 수 있다. 비평적 에세이는 비판적, 논리적 사고를 근간으로 하여 정형화된 패턴을벗어나 자유롭게 비평적 쓰기의 전략을 실현하는 폭넓은 쓰기 표현 활동을 의미한다.
패러디 쓰기는 원 텍스트와 그 시대의 문화를 반영하여 비판적 사고와 논리를 기초로 타당한 가치와 근거를 들어 텍스트를 재구성하는 것이다. 매체 활용 비평은 다양한 종류의 매체 텍스트를 통하여 개인의 비평적 표현을 담아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쓰기 교육 현장에서 논리적, 비판적 사고를 기반으로 비판적 문식성을 키워 독자와 텍스트 간 더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이 펼쳐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report suggests a new purpose for critical writing that can be applied to writing education. It also proposes alternatives such as critical essay, parody writing, and media writing based on a critical thinking. Critical essays include various writing activities that practice the free strategy of critical writing that involve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Parody writing involves restructing the text so that it reflects both the original text and contemporary culture, which again involves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while, providing reasonable value and evidence. Media writing based on a critical thinking includes individual critical expressions using various kinds of media text. Through these, students can raise their critical literacy through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using various means for readers to activly communicate with the text, and thus contribute to the field of writing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비평적 글쓰기의 개념과 관련 연구
3. 교육과정에 제시된 비평적 글쓰기의 내용
4. 비평적 글쓰기의 확장을 위한 글의 유형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