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02
- 영문명
-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Community in Kim Nam-ju’s Poetr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정민구(Jeong, Min-gu)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531~5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김남주의 시를 대상으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을 구성해 보는것이다. 이를 위해 친밀성의 공간, 생산성의 공간, 공공성의 공간이라는 세 가지의 측면에 주목하였다. 먼저, 친밀성의 공간으로서 ‘가족’은 공동체적 공론장의 축소된 형태를 보여주며, 공동체적 연대를 강화하는 공간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생산성의 공간으로서 ‘대지’는 파괴되고 훼손된 공간이며, 그것을 회복하기 위한 싸움/ 투쟁은 공공의 것을 위한 실천으로 인식되고 연대를 통해 지속적인 동력을 얻게 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공공성의 공간으로서 ‘시-쓰기’는 누구에게나 공통으로 해당하는 노동의 문제를 다루는 행위라는 측면에서 공공성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세 가지 공간은 각각 공동체의 이론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공동체적 유대관계, 공동체의 선(good), 공동체의 정치와 맞닿아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은 김남주의 시를 통해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을 구성할 수 있는단초를 마련해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community in Kim Nam-ju’s poetry, focusing on three aspects: the space of intimacy, the space of productivity, and the space of publicity. First, “family” as a space of intimacy showed a reduced form of the communal public sphere, and could seen as a space to strengthen communal solidarity. Next, as a space of productivity, “land” that has been destroyed and damaged and the fight/struggle to restore it is recognized as a practice for the common goo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will gain continuous momentum through solidarity. Lastly, it was found that “poetry-writing” as a space of publicity is in contact with publicity in terms of dealing with labor issues that are common to all. Each of these spaces is in contact with community ties, the community good, and community politics, which are given importance in the theory of community. As a result, this paper reveals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community through Kim Nam-ju’s poetr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