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이용수 46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High School Literature Club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안도현(Ahn Dohyu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435~4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서의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의 운영 실태를 살펴보고 동아리 활동에서 글쓰기의 자율성이 가지는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57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문학 동아리 설치 여부를 조사하였고, 4명의 현역 작가를 대상으로 고교 시절 문학 동아리 활동 사례를 설문 조사하여 동아리 활동의 유형을 알아보고 그 활동이 실제 작품 활동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글쓰기와 관련한 고등학교 동아리는 여전히 교과학습에 종속되어 자발성과 지속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창의적 체험활동 시행 이후 동아리 구성에 형식적인 자율성은 부여되었으나 글쓰기의 자율성은 심각하게 훼손되어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 현실에서 글쓰기 동아리는 창의적인 아우라를 확산하지 못하고 있다. 학생중심의 문학공동체로서 문학 동아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학생들의 자주성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 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high school literature club as a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o examine its goals and possi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literary clubs in 57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information was obtained from four active writers for details of literary club activities in their high school days. The types of club activities undertaken by them, and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n actual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It is concluded that high school clubs related to writing are still subordinate to coursework and are not able to obtain autonomy and sustainability. In some cas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mal autonomy was given for organizing the club, but the autonomy of writing was severely restricted.
Writing clubs are not able to spread a creative atmosphere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oncentrates on entrance examinations. In order for literary clubs to be activated as student-centered literary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tudents’ autonomy, connect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develop writing programs.
목차
1. 서론
2. 창의적 글쓰기의 아우라 효과
3. 문학 동아리 활동 사례와 발전 가능성 제고
4. 결론 및 제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