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485
- 영문명
- The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for Student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ocused on Writing a Group Plan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윤정안(Yoon Jeong-ahn) 홍래성(Hong Rae-seong)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239~2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전공 연계 글쓰기의 일환으로 모둠 기획서 쓰기를 시도한 것이다. 모둠 기획서 쓰기는 예체능 계열 학생들이 전공과 연계하여 실기와 다른 방향에서 진로를 고민할 수 있도록 하여 글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도입한 글쓰기 방법이다.
모둠은 5명 내외로 편성한다. 기획서는 팸플릿을 만드는 정도의 분량과 내용으로한다. 대주제는 교수자가 제시하고 모둠별로 소주제를 결정한다. 기간, 장소, 주최 및주관 등의 요소는 교수자가 제한하고, 모둠 기획서 쓰기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기획의도와 작가 및 작품 소개 등은 모둠별 토론과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완성시켜 나간다. 부기해야 할 사항은 기타를 활용하며, 표지도 제작하도록 한다. 모둠 기획서가완성되면 발표와 지정토론을 통해 상호피드백을 실시한다. 이와 같은 사항들은 같은예술 계열이라고 해도 학과마다 차이가 있으므로 그러한 점을 충분히 반영한다.
모둠 기획서 쓰기는 학생들이 자신의 전공과 관련하여 실습 이외에 새로운 각도에서 상상력을 발휘하여 진로를 탐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글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흥미롭게 글쓰기를 해볼 수 있다는 데서 의의가 있다. 또한 모둠 글쓰기는 협업을 전제하는 바 앞으로 실기 이외의 부분에서 협동하여 결과물을 제출하는 연습도 경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체육 계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적용해 보지 못했다는한계가 있다. 이는 추후의 과제로 남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n attempt to write a group plan as part of a major-linked writing project for students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Composing a group plan was introduced to mak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tudents interested in writing and to connect with their majors so that they can consider their careers in different directions through practical skills. The group consists of five people. The plan is based on the amount and contents of the pamphlet. The big themes are presented by the professor and determines the sub-themes by group.
The professor shall limit elements such as duration, location, organization and supervision. The planning intentions, writers and introduction, which are the core of writing a group plan, are completed through discussions by group members and feedback from professors. Professors teach composi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majors, even if they are in the same category of arts and physical education.
목차
1. 서론
2. 모둠 기획서 쓰기의 도입 배경과 필요성
3. 모둠 기획서 쓰기의 과정과 실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