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이용수 605
- 영문명
- Exploring the factors of job literacy required for a public officials (Grade 9)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임택균(Yim Taekkyun) 박찬흥(Park Chanheung) 최원호(Choe Wonho)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111~15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9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제 공무원의 업무 현장에서 요구되는 직무 문해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 관련 연구에제시된 공무원 문해력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추출하고, 이어 현직에 종사하는 공무원 7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 기법과 심층 면담을 활용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추출한 뒤 의견 일치 정도에 따라 공무원 문해력을 구성하는 요소를 최종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9급 공무원의 업무에서 공통적으로 문해력이 요구되는 상황과 그에 필요한 구체적인 문해력을 ‘구두 의사소통’과 ‘문어 의사소통(읽기/쓰기)’로 나누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 연구를 토대로 도출한추상적 수준의 공무원 문해력 요인들이 필요한 9급 공무원 업무의 상황과 맥락에 대하여 구체적인 정보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용어 이해’나 ‘어문규범 준수’ 에 대한 필요성과 같이, 선행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지지는 않았으나 실제 9급 공무원의 업무 현장에서 중요하게 요구되는 문해력의 요인과 내용을 보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9급 공무원의 직무 문해력에 대한 구성 요소가 실천적·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는 점에 이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공무원의 직무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 선발을 위한 평가에 있어서 구체적인 상황/맥락과 관련된 내용을 선정하고 구안하는 기준과 참조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job literacy required by Grade 9 public officials in the workplace.
First, the situation in which literacy is commonly required in the work of Grade 9 public officials was verified and the specific learning was divided into ‘speech’ and ‘text’ communication. Second, specific information and contents could be confirmed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work of grade 9 public officials, which require abstract level of civil service literacy factors deriv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rd, although not main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supplement the factors and contents of literacy that were important in the actual work field of grade 9 public officials.
This study is of important significance in that the components of the job literacy of grade 9 public officials were presented in practice and in detail.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nd devising specific situations/contexts in the evaluation for job literacy education and selection of public officials.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