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이용수 580
- 영문명
- A Study on Terminology Analysis to Improve Migrant Health Literacy: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with Korean medicine hospitals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안정민(Ahn, Jeongmin) 박정수(Jeong-Su Park)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3권 3호, 85~10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민들의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 향상을위하여 한국어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위하여 한방 병원에서 이루어진 환자와 의사 간 실제 대화를 기반으로 어휘를 추출하였다.
20명의 연구 참여자가 의사와 대화한 3시간 38분여의 한방 병원 대화를 어절 분석하여 총 11,397어절을 얻었고 이를 건강문해력 구성요인에 따라 분류하여 396개의의료 어휘를 추출할 수 있었다. 396개의 어휘는 빈도 분석, 국제통용 4차에서 제시한등급 기준에 따른 등급 분류, 한의학 특화 어휘 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건강문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어휘, 대화 구성 및 교육내용 선정 및 배열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한의학 분야에서의 특수어휘를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교육 내용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이주민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적 제언으로 증상 표현에 대한등급의 재고, 정신건강에 대한 증상 설명 및 이해 교육의 강화, 의료 어휘를 교육할 때의료 관련 문화 및 제도 교육의 병행, 한의학 관련 내용을 제시할 때 고려할 점 등을밝혔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이주민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깊이를 더해 가기를바라며, 한국의 전통적인 의학인 한의학에 대한 한국어교육적 관심도 높아지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is a basic study to select vocabulary that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improve health literacy of migrants living in Korea. Vocabulary was extracted based on actual conversations between patients and doctors in Korean medicine hospitals.
A total of 11,397 words were obtained by word analysis of 20 study participants' conversations with doctors at a Korean medicine hospital for three hours and 38 minutes, and 396 items of medical terminology were extracted by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health literacy components. By analyzing frequency analysis, 396 vocabularies were presented, grading according to the grading criteria presented in the 4th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Korean medicine specialized vocabulary.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lect and arrange practical vocabulary, dialogue composition, and educational contents that can improve health literacy.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using special vocabular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Within Korean education, these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migrant health literacy in Korea, rethinking the grade of symptom expression, strengthening education on symptom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mental health, parallel education in medical culture and systems when providing medical terminology and content education related to Korean medicine.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n-depth research on improving the health literacy of migrants as well as Korean language education’s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will increase.
목차
1. 서론
2. 건강문해력
3. 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어휘 선정 및 분석 내용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김남주 시에서 공동체의 이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 교수자의 구두 피드백 지침 마련을 위한 실행연구
- 근거이론을 활용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경험 분석
- 초등학생 읽기 태도 검사 도구 타당화 및 예비 연구
- 대학의 권장도서 목록 현황과 분석 결과
- 규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외래어 표기법에 대한 국어 관련 전공자들의 언어 태도 연구
-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존 해제 분석 및 오류 정정에 관한 연구
- 공무원(9급)의 직무에 요구되는 직업 문해력 요인 탐색
- 교육용 텍스트에 대한 이독성(易讀性) 질적 평가 준거의 필요성과 활용 가능성
- 중등 학습자의 사회정서역량 실태와 쟁점
- 대학 글쓰기 피드백 연구의 경향과 시사점
- 튜터링 원칙과 튜터 교육 방안
-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 리터러시 연구 13권 3호 목차
- 『삼국유사』 <탑상>편의 인식적 구조 읽기-이야기 세계 확장의 가능성
- 예체능 계열 학생들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이주민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어휘 분석 연구
- 고등학교 문학 동아리 운영의 의미와 글쓰기의 자율성 확보
- 기술적 대상들의 인간화, 혹은 기술적 대상과 관계맺기 -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읽기
- 후마니타스의 초상과 SF 버전의 메멘토 모리 - 가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김남주 옮김, 민음사, 2009) 읽기
- 공존을 기억하는 길 - 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 1895년, 시간을 여행한다는 것 - 허버트 조지 웰스의 『타임머신』(1895)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