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건설적 사고 모델의 도덕교육적 의의

이용수 64

영문명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ve Thinking Model: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Thayer-Bacon, B. J.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아영(Kim, Aye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38권 제2호, 541~56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이어베이컨의 건설적 사고 모델이 도덕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것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지 밝히는 데 있다. 연구방법 세이어베이컨의 저작물과 그가 참고한 벤하비브, 길리건, 나딩스, 플랙스, 러딕 등 학자들의논의를 중심으로 비판적 사고의 전환으로 제안된 건설적 사고 모델이 갖는 의미를 밝히는 것에 주안점을둔다. 연구결과 건설적 사고 모델은 배려 윤리 관점의 관계적 인식론에 기반하여, 비판적 사고의 과정에 이성뿐만아니라 다양한 도구와 기능을 활용하도록 제안하는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이다. 건설적 사고 모델관점에서는 이성에 기반한 추론뿐만 아니라 감정, 상상, 직관 등도 지식을 구축하는 과정에 활용될 수있는 유용한 도구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관계맺음과 의사소통의 기술을 통해 더 유용하게활용될 수 있기에 도덕 교육적 관점에서 이러한 도구와 기술의 계발과 관련한 논의는 도덕적 앎을 구축하는과정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 건설적 사고 모델은 도덕 교육의 상황에서 학생을 도덕적 앎 구축의 능동적 인식 주체로 여기도록한다. 이에 학생의 경험과 이야기는 도덕 교육의 가장 중요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감정, 상상,직관 등의 건설적 사고의 도구와 의사소통 및 관계맺음 기술을 강화하는 도덕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함으로서 도덕 교육의 통합적 기능을 강화하는 것에 기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icate what implications Sayer Bacon s constructivethinking model provides for the direction and task of moral education. Methods: Focusing on Thayer Bacon s work and the discussions of experts such as Benhabib, S.,Gilligan, C., Naddings, N., Flax, J., and Ruddick, S., the focus was on revealing the meaning ofthe proposed constructive thinking model as a transforming in critical thinking. Results: The constructive thinking model is an alternative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at proposesto utilize various tools and skills as well as reason in the process of critical thinking, based on relationalepistemology from a caring ethics perspective. From the constructive thinking model, not onlyreasoning, but also emotion, imagination, and intuitions can be recognized as useful tools that canbe us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ve knowing. Since these tools can be used more usefully throughthe skills of relational and communication discussion the development of these tools and skills provide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constructive moral knowing. Conclusion: The constructive thinking model allows students to be regarded as active knowers. ThenStudent’s experiences and storytelling can then also be used as the most important material for amoral education class. Constructive thinking also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integrated functionof moral education by suggesting the tools such as emotion, imagination, and intuition, and thepossibility of moral education that strengthens communication and relational skill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건설적 사고의 특징
Ⅲ. 건설적 사고의 도구와 기능
Ⅳ. 도덕 교육에 대한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영(Kim, Ayeong). (2022).건설적 사고 모델의 도덕교육적 의의. 교원교육, 38 (2), 541-561

MLA

김아영(Kim, Ayeong). "건설적 사고 모델의 도덕교육적 의의." 교원교육, 38.2(2022): 541-5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