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OI와 rbcL 염기서열을 이용한 생물계통수 비교

이용수 38

영문명
Comparison of Phylogenetic Tree using COI and rbcL Sequence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김명숙(Myung Sook Kim) 이정형(Jeong Hyeong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3 No.4, 1763~177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생물다양성의 손실은 정확한 생물분류와 동정을 위한 기술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증가시킨다.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새로운 종의 체계적인 분류는 많은 시간과 노력 및 예산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표준화된 DNA(deoxyribonucleic acid) 바코드(barcode)에 의한 분류방식은 매우 큰 중요성을 갖는다. DNA 바코드의 효용은 포괄적이고 광범위하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발전에 있으며, 짧은 DNA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물군으로부터 종의 빠르고 정확한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DNA 바코드로 인정하는 COI(mitochondrial gene cytochrome c oxidase I)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NJ(neighbor joining) 계통수(phylogenetic tree)와 ML(maximum likelihood) 계통수를 작성하고 그 결과를 홍조류 생물계통수 추론에서 주로 사용되는 rbcL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작성된 계통수와 각각 비교하였다. COI 유전자의 계통수 추정결과는 rbcL 유전자의 계통수 추정결과와 동일한 위상으로 나타나므로, DNA 바코드 유전자인 COI 염기서열은 홍조류 종의 빠른 인지와 정확한 식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e loss of biodiversity progressing rapidly in recent years has been increasing the necessity of technical support for the accurate taxonomy and identification. Systematics by traditional method has required plenty of time, effort and budget resulted in decreasing efficiency. The utility of DNA barcoding is to provide an efficient method for species-level identifications and, as such, will contribute powerfully to taxonomic and biodiversity research.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NJ and ML phylogenetic tree using COI gene as DNA barcode and rbcL gene as phylogeny for Gracilariaceae of Rhodophyta. The result of phylogenetic tree estimated by COI gene is showing same topology with the phylogenetic tree by rbcL gene. Thus we confirmed that DNA barcoding can complement currrent research in the taxonomy by providing potentially useful information for groups that are already well studied, and will be helpful in the selection of taxa for research attention.

목차

1. 서론
2. NJ와 ML 계통수 작성의 이론적 배경
3. Gracilaria COI와 rbcL 염기서열 자료에 대한 NJ와 ML 계통수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숙(Myung Sook Kim),이정형(Jeong Hyeong Lee). (2011).COI와 rbcL 염기서열을 이용한 생물계통수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3 (4), 1763-1773

MLA

김명숙(Myung Sook Kim),이정형(Jeong Hyeong Lee). "COI와 rbcL 염기서열을 이용한 생물계통수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3.4(2011): 1763-17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