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관적 시간경과가 사회불안자의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

영문명
The Effect of Subjective Time Progression on Time Distortion and Arousal Level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유정이(Jung-Yi Yoo) 이장한(Jang-Han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7 No.2, 969~97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도록 시간경과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을 조작하였을 때,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의 감소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729명의 대학생을 사회불안 수준에 따라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40명)과 낮은 집단(40명)으로 선별한 뒤, 두 종류의 주관적 시간경과 조건(느린/빠른 시간경과)에 무선할당하였다. 실험참가자가 발표하기 전인 기저선 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과 주관적 불안수준을 측정한 후, 발표 중간인 노출단계와 발표 후인 회복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 및 주관적 불안수준의 변화와 함께 시간왜곡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은 빠른 시간경과를 경험하는 경우에는 발표 후인 회복단계에서 피부전도반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빠른 시간경과 조건에서 시간이 빠르게 지나간다고 지각하였다. 이런 결과는 사회불안자가 불안한 상황에서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도록 조작하였을 때 시간이 빠르게 간다고 느끼며 생리적인 각성수준도 감소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빠른 시간경과가 사회적 환경에서 사회불안자의 긴장 수준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time progression, which is when time seems to pass more quickly than it actually is, on time distortion and arousal level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Both high and low social anxiety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ime-drags (being told for 3 minutes) or time-flies conditions (being told for 7 minutes) during an oral presentation, while the level of anxiety and time distortion was measured using the skin conductance level (SCL) based on phases (baseline (2 min), exposure (5 min), and recovery (3 min)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felt time progress, evaluation of performance, anxiety-state).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in the time-flies situation had significantly decreased SCL during the recovery phase, as compared to the exposure ph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st time progression could help to reduce arousal level from social situations by decreasing time distortion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목차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이(Jung-Yi Yoo),이장한(Jang-Han Lee). (2015).주관적 시간경과가 사회불안자의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 (2), 969-978

MLA

유정이(Jung-Yi Yoo),이장한(Jang-Han Lee). "주관적 시간경과가 사회불안자의 시간왜곡과 각성수준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7.2(2015): 969-9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