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월경전후기 증상간의 관계

이용수 40

영문명
Job Seeking Stress, Stress Coping Styles, and Perimenstrual Sympto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문소현(So-Hyun Moon) 조헌하(Hun Ha Cho)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6 No.4, 2261~227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취업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월경전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월경전후기 증상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여대생 3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월경전후기 증상은 대상의 일반적 특성 중 월경기간, 월경량, 월경통 유무, 진통제 복용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월경전후기 증상은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하위영역별 불안, 수분축적, 당 섭취요구, 우울, 통증점수 역시 그룹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스트레스 대처 방식 중 소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군이 적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군보다 취업스트레스와 월경전후기 증상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월경전후기 증상은 취업스트레스와 하위영역 중 성격 스트레스, 학교환경 스트레스, 가족환경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경전후기 증상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 영역인 적극적 대처방식, 소극적 대처방식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20대 여대생이 경험하는 주요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정신건강에서 간과할 수 없는 취업스트레스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을 고려한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여대생의 월경전후기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of job seeking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to perimenstrual symptoms in college women.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sample of 398 female college students in Muan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WIN 21.0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imenstrual symptoms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 of job seeking stres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verall relationships among job seeking stress, stress coping styles were significant with college women’s perimenstrual symptom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between job seeking stress and passive stress coping style. Also, perimenstrual symptom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tive and passive stress coping styles. College women frequently using the passive coping styles reported higher perimenstrual symptoms. The group of higher score on job seeking stress and passive coping style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perimenstrual symptom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PMS (premenstrual syndrome) programs including job seeking stress and stress coping styles should be established.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in order to draw consensus on roles of the related factors of PM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소현(So-Hyun Moon),조헌하(Hun Ha Cho). (2014).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월경전후기 증상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6 (4), 2261-2272

MLA

문소현(So-Hyun Moon),조헌하(Hun Ha Cho). "여대생의 취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월경전후기 증상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6.4(2014): 2261-2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