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에 따른 얼굴 제시유형이 음성식별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

영문명
The Effects of the Facial Presenting Types according to Gender on Voice Identification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김수정(Sue-Jung Kim) 이장한(Jang-Han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8 No.3, 1579~159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성식별 정확성에 얼굴자극 제시유형과 평정자, 자극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총 40명(남녀 각 20명)의 대학생을 얼굴자극 제시유형에 따라 전체얼굴 제시집단, 가린얼굴 제시집단에 할당한 뒤 남녀 대화를 들으며 각 집단의 얼굴자극을 제시받고 10분간 시간이 흐른 것과 같은 효과를 주기 위해 산술문제를 풀고 알파벳을 기억하는 간섭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그 후 음성식별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해 9개의 음성보기 중 앞서 청취한 음성과 동일한 음성을 선택하고 선택한 음성에 대한 확신 정도를 평정한 후, 실험에 대한 집중도를 알아보기 위해 음성 대화내용에 대한 기억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실험결과, 여성 참가자의 경우 전체얼굴 제시집단이 가린얼굴 제시집단보다 음성식별 정확도가 높았으나, 이런 결과는 동성의 음성자극에서만 유의미하였다. 반면, 남성 참가자에서는 얼굴 제시유형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여성 참가자가 사회적 자극에 민감하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전체얼굴을 보았을 때 얼굴과 음성을 연합하여 음성식별 정확성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voice identification accuracy according to facial presenting types (global face, masked face) and gender (participant, voice).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40 university students (20 female). The participants assigned in either global face presenting group or masked face presenting group. Participants listened to conversation as they look at the face photo. They asked to perform a operation span task (for 10 minutes) and audio line-up using 9 voice samples, assess the confidence of their selection. Then,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bout memory of conversation to assess the concentration. As a results, global face group identified voice of female accurately more than masked face group and identification of male voic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facial presenting types in femal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facial presenting types and gender in male. These results show that female participants improve memory over the combination of face and voice in global face presenting because women are more sensitive to social stimuli.

목차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정(Sue-Jung Kim),이장한(Jang-Han Lee). (2016).성별에 따른 얼굴 제시유형이 음성식별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8 (3), 1579-1593

MLA

김수정(Sue-Jung Kim),이장한(Jang-Han Lee). "성별에 따른 얼굴 제시유형이 음성식별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8.3(2016): 1579-15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