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D 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이용수 127

영문명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이혜경(Hae Kyung Lee) 이계희(Kye Hee Lee) 서부덕(Boo Deuk Suh) 권경희(Kyoung Hee Kwon)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9 No.2, 1055~106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건의료관련 학과를 제외한 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 s 상관계수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32.2%가 문제음주자(AUDIT-K 12점 이상)였으며, 음주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코올사용장애 집단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효능감이 비문제성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음주정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대인관계능력, 처음관계 맺기, 자기노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처음관계 맺기와 자기노출에서 비문제성 집단(11점 이하)보다 ‘알코올사용장애’집단(15점 이상)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높았다. 음주와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 정적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음주와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절주교육과 음주문제 감소 전략을 계획할 때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알코올문제 예방교육을 할 때 AUDIT-K를 통한 문제음주군 선별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e ai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89 college students living in D area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30th, 2016.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one-way ANOVA. The percentage of problem drinkers was 32.2% among the 289 subject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mean scores on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efficacy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itiating relationships, self-disclosure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by g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gend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we prepare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AUDIT-K.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경(Hae Kyung Lee), 이계희(Kye Hee Lee), 서부덕(Boo Deuk Suh), 권경희(Kyoung Hee Kwon). (2017).D 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 (2), 1055-1067

MLA

이혜경(Hae Kyung Lee), 이계희(Kye Hee Lee), 서부덕(Boo Deuk Suh), 권경희(Kyoung Hee Kwon). "D 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19.2(2017): 1055-10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