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접촉식 도자기 복원 방법 비교 연구

이용수 428

영문명
A Study on the Method of Restoring Pottery Using 3D Digital Technology - Comparison of the Restoring Methods of White Porcelain Using Contact and Contactless Method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오승준(Oh Seung Jun) 위광철(Wi Koang Chul)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2호, 595~61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문화재 보존처리는 훼손된 문화재의 수명을 연장시켜 그 가치를 재평가하며 나아가 전시 및 교육 등의 목적으로 문화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그러나 보존처리는 처리자의 숙련도와 경험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중요한 문화재를 다룰 수 있기까지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도자기 유물의 경우 깨진 파편의 접합과 결실된 부분의 복원 과정에서 잘못된 보존처리가 이루어진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줄이고 숙련된 보존처리자의 기술력을 대체해 보고자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도자기 유물의 복원 방법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연구 결과 스캐닝과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비접촉식 복원 방법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접촉식 복원 방법에 비해 정밀함이 떨어지고 정확한 복원 부위의 형태를 얻을 수 없었다. 출력된 복원부와 도자기 유물의 접합면에 틈이 발생하고 두께 차이도 나타나 이로 인해 접촉식 복원 방법으로 2차적인 표면 처리 및 후처리 작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스캐닝 작업을 통해 유물의 형태 및 단면도, 문양, 표면 흔적 등 유물에 대한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으며, 디지털 파일로 저장해 전시 및 교육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재질의 유물과 고 사양의 스캐닝 및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데이터베이스를 축척하고 숙련된 기술력이 쌓이게 된다면 이를 바탕으로 보다 안정적이고 편리하며, 과학적인 문화재의 복원 및 보존처리 방법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자기 유물의 재질과 특성에 맞는 필라멘트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와 문화재 복원용 3차원 프린터 및 스캐너, 관련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영문 초록

The preservation process allows a damaged cultural asset to be prolonged, its value revalued, and the cultural assets to be utilized for display or education purposes. However, the preservation process takes a lot of effort and time to deal with important cultural assets as the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cessor’s skill and experience. In particular, ceramic artifacts may have been mislodged during the bonding of broken pieces and restoration of fructure-free areas. To reduce these issues and replace the skills of experienced caregivers, we studied the restoration of ceramic artifacts utilizing 3D digital technology. Studies have shown that contactless recovery methods utilizing scanning and printing technologies are less precise and have not been able to obtain the exact type of restore site compared to manually performed, interactive restore methods. Gap with printed copies and ceramic object mating faces were cracked and thickness differences were also shown, indicating the need for secondary surface treatment and post processing with contact restore methods. However, scanning enabled us to better understand the object s shape, profile, patterns, and surface markings, and to store them as digital files for additional viewing and training purposes. It will provide a more reliable, convenient and scientific method to restore and apply cultural assets as the database is built up and the technology is more skilled, utilizing a wider range of artifacts and high-end scanning and printing technologies. Furthe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ilament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haracteristics of the ceramic object, 3D printer and scanner for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ssets, and related program development will have to be continued.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승준(Oh Seung Jun),위광철(Wi Koang Chul). (2018).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접촉식 도자기 복원 방법 비교 연구. 문화와융합, 40 (2), 595-614

MLA

오승준(Oh Seung Jun),위광철(Wi Koang Chul). "3차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접촉식 도자기 복원 방법 비교 연구." 문화와융합, 40.2(2018): 595-6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