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지역발전 효과 연구

이용수 325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Local Development Using Place Marketing : Focused on Incheon and Busan’s Chinatow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범종(Park, Beom-Jong) 서선영(Seo, Seon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2호, 167~19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천과 부산 차이나타운의 형성과정에 대한 비교분석과 지역 발전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인천과 부산 차이나타운의 형성과정을 비교한 결과, 첫째, 인천의 ‘중국촌의 형성’은 한국 ‘차이나타운’의 최초 형태가 되었다. 그리고 부산은 1884년 청국 영사관이 설치되고, 그 주변에 중국인 점포와 주택들이 형성되어 ‘청관거리’로 불리기 시작한 것이 차이나타운의 시초였다. 둘째, 인천과 부산의 차이나타운은 근대화 과정에서 중국과 가까운 거리의 이점을 살려 주로 상업을 위해 모여들면서 형성되었다. 셋째, 인천과 부산 차이나타운에 거주하는 화교는 대부분 중국 본토가 아닌 산둥성이 대부분이며 국적은 90%가 대만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넷째, 인천과 부산은 2007년 재정경제부에 의해 차이나타운 지역특화발전 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반면 인천과 부산 차이나타운의 형성과정에서 차이점은 인천 차이나타운은 중국인 중심의 정체성을 갖추고 있으나, 부산 차이나타운은 러시아인, 동남아시아계 등의 유입으로 인해 다양한 가게들이 늘어나면서 다문화공간이라는 특이성을 보였다. 인천과 부산 차이나타운의 지역발전 효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경제적 효과로 차이나타운 내 제1패루, 삼국지 벽화거리, 한중원, 용문양 계단 장식, 중국식 점포 건축물 그리고 중국 화교학교 등 다양한 문화시설을 활용한 장소자산 효과를 산출하고 있었다. 특히 중화가를 대표하는 ‘자장면 축제’, ‘차이나타운 거리축제’ 그리고 ‘부산차이나타운특구문화축제’ 등을 통해 관광객 유치 등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둘째, 정치·문화적 효과로는 차이나타운이 내국인과 이주민이 융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되어 사회통합 효과를 이끌어내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on process of Chinatown in Incheon and Busan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reg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Incheon and Busan’s Chinatown, First, Incheon’s formation of ‘Chinese village’ became the first form of ‘Chinatown’ in Korea. and In 1884, Qing’s Consulate was established in Busan, and Chinese shops and houses were formed around it. It was the beginning of Chinatown. Second, Incheon and Busan’s Chinatown were formed mainly for commercial purposes, taking advantage of the proximity to China during the modernization process. Third, most of the Chinese who live in Chinatown in Incheon and Busan are mostly Shandong Province, not China Mainland, and 90% are Taiwanese. Fourth, Incheon and Busan were selected by th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 in 2007 as a special development area in the Chinatown area. but, The difference is that Incheon’s Chinatown has a Chinese-oriented identity, but Busan’s Chinatown is a multicultural space with a variety of shops due to the influx of Russians and Southeast Asian people. The analysis of regional development effect of Incheon and Busan s Chinatown shows that firstly, various cultural facilities such as 1st Paru in Chinatown, Samgukji Mural Street, HanJungWon, Dragon Pattern Staircase Decoration, Chinese Store Building and Chinese Overseas School are utilized One place asset effect was calculated. Especially, it played a positive role in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through ‘Jajangmyeon Festival’, ‘Chinatown Street Festival’, and ‘Busan Chinatown Special Cultural Festival’ Second, through the marketing of places using multicultural images as political and cultural effects, Chinatown was bringing out the effect of social integration as a space where locals and foreigners could converg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차이나타운의 형성과정 비교 연구
4. 인천과 부산의 차이나타운을 활용한 지역발전 효과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범종(Park, Beom-Jong),서선영(Seo, Seonyoung). (2018).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지역발전 효과 연구. 문화와융합, 40 (2), 167-198

MLA

박범종(Park, Beom-Jong),서선영(Seo, Seonyoung).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지역발전 효과 연구." 문화와융합, 40.2(2018): 167-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