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문융합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관점

이용수 162

영문명
Teachers’ Perspectives o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은주(Lee Eunju)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2호, 359~38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6년 인문역량강화(CORE) 사업에 선정된 C대학교의 인문융합 교과목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수자들은 인문융합 교육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고, 수업운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과목 설계(강의계획서)를 보면 기존에 운영했던 인문교양 교과목과 변별되는 점이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융합교육의 원론적인 측면만 언급하고 주차별 교육내용은 교재의 목차를 그대로 나열하고 있는 사례, 2개 이상의 다른 영역의 협업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학습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융합하고 있는지 유추하기 어려운 사례, 이종 영역 간 접점을 찾는다는 개념을 수용하고 있지만 수업내용은 주제중심의 다양한 텍스트 호출에 머무는 경우, 기존 교양수업 체계에 인문적 요소(문학, 역사, 철학 텍스트)를 수업자료나 도구로 활용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수업내용도 교수자가 융합하고, 융합한 지식이나 융합해야 할 지점을 교수자가 전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인문융합 교과목을 담당한 교수자들이 이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는 공통감각을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실천되고 있지는 않다는 뜻이다. 융합교육에 대한 합의점이 공식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수자에게는 교과목 개발은 물론 수업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문융합 교육에서 기대하는 학습자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으로 운영되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많은 수강인원이 대형 강의실에 모여야 하는 여건 상 수업은 강의식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교수학습 방식으로 새로운 교육모형을 실현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것이 인문융합 교과목 설계에서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eachers accep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e classes in practice with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of C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project “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2016.” The course design (class syllabus) did not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existing liberal arts subjects. For example, some syllabuses mention only a theoretical aspect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list the contents of class materials; emphasize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areas but leave students doing the convergence work for themselves; appear to be accepting the concept of finding a point of contact between different areas but only list subject-centered texts for class content; or simply utilize humanistic factor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exts) as class materials or tools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liberal arts class. As for the class content, it could be seen that teachers performed convergence or delivered converged knowledge or a point of convergence in performing tasks. This means that although teachers in charge of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specify the common sense regarding educational directions of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ot practiced in classes in reality. Among the subjects selected for C University’s project of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the number of subjects for humanities convergence is relatively small. In a condition where there is no official agreement on convergence education, it can be a burden on teachers to not only develop subjects but also operate classes. And classes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encourag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o as to develop the learners’ competence expected i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over 60 students gather in a large lecture room and the class cannot depart from lecture-style delivery.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esign a new education model using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difficulty is revealed in the subject design for humanities convergence.

목차

1. 서론: 외부 조건에 의해 견인되는 인문융합 교육
2. 본론
3. 결론: 인문융합 교육의 한계와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주(Lee Eunju). (2018).인문융합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관점. 문화와융합, 40 (2), 359-386

MLA

이은주(Lee Eunju). "인문융합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관점." 문화와융합, 40.2(2018): 359-3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