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천주교 교리서 『회죄직지』에 나타난 한글 표기의 기준과 그 영향

이용수 89

영문명
The standard and its influence of the Korean spelling system in Hoejoejikji(회죄직지)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순란(Park Soon-ra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2권 3호, 167~18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회죄직지』 목판본·활판본·필사본의 고유어와 한자음의 표기 양상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에서 세워진 표기의 기준이 활판본 교리서에 계승되고 필사본 교리서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밝혀보고자 했다. 『회죄직지』(1864) 목판본에서 고유어 표기는 ‘ᆞ’의 비음운화를 반영하지 않고 역사적 표기로 일관하고 있어 고유어 표기 기준이 역사적인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자음의 표기는 『전운옥편』에 제시된 한자음을 표기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현실 발음과 달리 구개음화가 적용되지 않은 표기를 사용하고 있다. 2종의 『회죄직지』(1882,1900) 활판본에서 고유어 표기는 목판본에서 ‘차자, 가음’으로 표기되었던 단어를 역사적 표기인 ‘자, 음’으로 수정하였다. 한자음 표기는 ‘침로, 범람, 념려’와 같이 모두 자전 한자음으로 모두 수정하였다. 『회죄직지』 활판본에서는 목판본에서의 고유어와 한자음 표기 기준을 그대로 계승하고 더욱 그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여 표기하였다. 3종의 『회죄직지』 필사본에서 한자음 표기는 3종의 필사본이 어두에서는 거의 예외 없이 한자음 표기 기준을 지켜 표기하고 있으나 비어두의 유음 한자음의 경우는 현실 발음을 반영한 표기가 조금 나타났다. 고유어 표기는 필사본마다 표기의 기준을 지켜 표기하는 상태가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필사A본은 목판본이나 활판본의 표기와 거의 동일한 표기로 나타나 필사자가 표기에 대한 분명한 규범의식을 갖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필사B본은 표기 오류가 많고 현실 발음이 많이 반영되는 특징이 있지만 ‘ᆞ’와 구개음 관련 표기에서는 표기의 기준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사C본은 필사A본 만큼 정확하게 표기 기준을 따르지 않지만 필사B본보다 더 표기 기준에 가까운 표기 상태를 보여준다. 초기 천주교회 안에서 교리 전파와 교인 교육을 위해 통일된 표기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식 아래 표기 기준을 정하며 그것을 지켜 책을 간행하고 그 표기 기준이 필사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회죄직지』 목판본, 활판본, 필사본 교리서의 고유어와 한자음의 표기에서 표기 기준이 지켜지고 있는 것을 통해 초기 천주교회에서 전교와 교리 교육을 위해 한글 표기의 표준화가 필요함을 깨닫고 한글 표기를 표준화하는 시도를 했다는 것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ttempts to present the Native Korean and the Shino-Korean based on the manuscript, block book, and printed book Hoejoejikji(회죄직지).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spelling system of the letter “ᆞ” and palatal sound, which each person expressed arbitrarily in the discord and confusion between the spelling and actual pronunciation. In the block book prints of Hoejoejikji(회죄직지)(1864), the proper spelling is consistent with the historical spelling. The Shino-Korean consonant spelling uses the Shino-Korean consonants suggested in the Jeonunokpyeon(전운옥편) rather than the actual pronunciation with palatalization. In two types of Hoejoejikji(회죄직지)(1882,1900) in the printed book, the proper spelling for “차자, 가음” was modified to the historical inscription “자, 음” in the block book, “침노, 범남, 념녀” liquidated Shino-Korean, which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pronunciation of reality, are all corrected in the printed book by rotating the Shino-Korean of “침로, 범람, 념려”. In the printed book of the Hoejoejikji(회죄직지), the written version of the Native Korean and the Shino-Korean were inherited as they were in the block book, and the standard was applied strictly. In three types of the Hoejoejikji(회죄직지) manuscript, standard spelling were used in the writing of Shino-Korean and Native Korean. Each manuscript has a slightly different form of writing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stated. Manuscript A appears to be almost identical to that of a block book or a printed book. Although Manuscript B has many typographical errors and factual pronunciations, it was written in the form of the letter “ᆞ” and “palatal” related expres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tandard of expression. Manuscript C shows a spelling state that is closer to the spelling standard than Manuscript B. Through spelling state of manuscrip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standard of spelling acted as the reference framework in man writing a manuscript. In the early Roman Catholic Church, there was a thought that “a unified spelling system was needed for the preaching of the doctrine and the teaching of member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riteria for writing were set and the book was published accordingly, and that the standard for writing had even affected the manuscript.

목차

1. 머리말
2. 『회죄직지』 목판본의 표기 기준
3. 『회죄직지』 활판본의 표기 기준
4. 『회죄직지』 필사본의 표기에 미친 영향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란(Park Soon-ran). (2020).천주교 교리서 『회죄직지』에 나타난 한글 표기의 기준과 그 영향. 문화와융합, 42 (3), 167-189

MLA

박순란(Park Soon-ran). "천주교 교리서 『회죄직지』에 나타난 한글 표기의 기준과 그 영향." 문화와융합, 42.3(2020): 167-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