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이용수 296

영문명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S University Writing Course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차봉준(Cha Bong-Jun) 한윤영(Han Yun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5호, 319~34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S대학이 교양필수로 개설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의 수업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해당 교과목이 재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S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수업 효과성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나게 한 원인 분석을 위해 S대학 글쓰기 교육과정의 구성상 특성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연계하여 수업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해 활용한 진단도구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를 순차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소통 수업 효과성에 대한 분석은 기본역량과 특수역량의 두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을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해당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대학의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전체평균은 2.14점이었으며, 특수역량 전체평균은 2.80으로 특수역량이 기본역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을 평가해 볼 때 해당 교과과정은 재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증진에 의미 있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이해(△M=.25)와 특수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동기(△M=.15) 부분에 대한 증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 분석 결과, 법학계열의 의사소통 역량 증진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열별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개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요구된다. 그리고 글쓰기 교과가 실용적 측면에서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목표는 달성하지만, 자아 성찰적 성장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의 차원은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교육 내용인 글쓰기 주제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고민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목차

1. 서론
2. S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성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봉준(Cha Bong-Jun),한윤영(Han Yunyoung). (2018).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문화와융합, 40 (5), 319-348

MLA

차봉준(Cha Bong-Jun),한윤영(Han Yunyoung).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문화와융합, 40.5(2018): 319-3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