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유럽의 ‘호기심의 방’의 영향

이용수 836

영문명
Influence of European ‘Cabinet of Curiosity’ in ‘Chaekgeori’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최수정(Choi Sujeo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0권 5호, 95~174쪽, 전체 8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12,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책거리 그림은 조선의 18 세기 후반에 등장한 정물화의 장르로 책거리라는 이 름에서처럼 책은 가장 주제이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책거리 그림은 책과 기물을 뜻하는 말로 현대의 작가들에 의에서도 꾸준히 제작되어지고 있다. 책거리 그림은 크게 책가가 있는 책가도와 책가가 없는 책거리 그림으로 나뉘며, 보통 이 둘을 아울러 ‘책거리 그림’이라고 칭한다. 그런데 현재 연구는 주로 후기 책거리 그림의 역원근법을 위주로 초기의 서양화법에 영향을 받은 책가도에 관해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책가도의 기원에 있어 주로 중국의 낭세녕의 ‘다보각경도’가 연구되어 왔다. 이에 이 글에서는 초기 책가도의 기원과 그 조형성에 있어 유럽적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유럽의 ‘호기심의 방’이라는 수집실은 르네상스의 작은 서재인 ‘스투디올로’에서 시작하여 왕들의 수집실인 쿤스트캄머를 거쳐 중국의 다보각에도 영향을 주는데, 이 때 발달한 부분이 예술품 감상문화이다. 이는 조선에도 영향을 미쳐 골동품 수집과 감상 활동을 일으켰으며 조선의 책 애호 사상과 더불어 독특한 장르를 형성시킨다. 특히 정조가 이것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면서 사대부는 물론, 전 계층으로 확대되 는 유행을 낳는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는 책거리 그림이 소비문화와 절제의 유교문화가 서로 상충되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근대의 소비문화와 영향이 깊다. 또한, 당시유럽에서 시작하여 중국을 거친 문인들의 박물학적 관심과 문무를 함께 어우르는 르네상스 인문학적 인간상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Chaekgeori is a still-life painting genre that emerged in late eighteenth- century Joseon Korea. Books are the primary and most important motif in such paintings, evident from their prominent placement, abundance, and the name chaekgeori, which means “books and things” or “books and the materials for them.” Chaekgeori paintings were made through the modern period and continue to inspire contemporary artists. Chaekgeori paintings is divided into a bookshelves with no bookshelf and a bookshelf painting, They are usually also referred to as ‘Chaekgeori paintings’. Now,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about the Chaekgeori paintings that were mainly influenced by early Western painting techniques, mostly in the inverse perspective of the later Chaekgado. Also, in the origin of the Chaekgado style, the ‘Duobaoge’ of Láng Shìníng(Giuseppe Castiglione), which is largely Chinese, has been studied. Therefore, this article seeks to explore the European influence in the origin and formation of early Chaekgado. Europe’s ‘Cabinets of Curiosities’ begins with the small Renaissance library, ‘Studiolo’, and affects the multi-boretum in China through Kunstammer, the collection of kings, which developed in this part. This has also influenced Joseon Dynasty to collect and appreciate antiques, creating a unique genre along with Joseon’s book-loving ideas. In particular, it creates a trend in which King Jeongjo uses it politically and expands to all classes, not to mention the four major classes. However, this culture is largely influenced by the modern consumer culture, as the street paintings are created in conflict with the consumer culture and Confucian culture of control. There is also a link between the natural interest of writers who started in Europe and went through China at the time and the humanities of Renaissance.

목차

1. 서론
2. 책거리 그림과 출현 배경
3. 르네상스 스투디올로에서 책거리까지
4. 책거리 그림과 유럽의 ‘호기심의 방’의 비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수정(Choi Sujeong). (2018).‘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유럽의 ‘호기심의 방’의 영향. 문화와융합, 40 (5), 95-174

MLA

최수정(Choi Sujeong). "‘책거리 그림’에 나타난 유럽의 ‘호기심의 방’의 영향." 문화와융합, 40.5(2018): 9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