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유학기제(2015-2017)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에 관한 연구

이용수 5168

영문명
A Study on Changes to Students Academic Records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2015-2017)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진영(Kim Jin 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8호, 293~31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자유학기제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를 살펴보고자 2015년 165명, 2016년 155명, 2017년 158명을 조사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도 2학기부터 2017년도 2학기로 자유학기제 3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각 년 도별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연구대상자의 성향은 다르다. 먼저 자유학기제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를 4그룹 A(자유학기제 전 학생 만족도(고)-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고)), B(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고)-자유학기제후 학생만족도(저)), C(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저)-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고)), D(자유학기제 전 학생만족도(저)-자유학기제 후 학생만족도 (저))(으)로 구분해 그룹별 성적변화의 특징 및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A(고-고) 그룹이나, C(저-고) 그룹의 학생들은 일관성 있게 성적 향상이 나타나지만, D(저-저) 그룹은 성적의 변화가 거의 없고, B(고-저) 그룹은 성적향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앞의 두 그룹에 비해 성적 향상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성적향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자유학기제 만족도가 낮고, 부모 학력이 고졸인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자유학기제가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생들에게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유학기제가 우리 사회의 교육 양극화 문제 해소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to the academic records of seventh graders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165, 155, and 158 seventh graders in 2015, 2016, and 2017, The survey period was from the second semester of 2015 to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nd it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in the free semester system. respectively.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before and after its implementation was examined across four groups: Group A(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high)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high)), Group B(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high)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low)), Group C(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low)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high)), and Group D(student satisfaction before the system(low) - student satisfaction after the system(low))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group s changes in academic records. The findings show that students of Group A(high-high) and Group C(low-high) made a consistent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records. Group D(low-low) showed few changes to their academic records. Group B(high-low) made an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records, but their improvement was not as prominent as Groups A and C. firs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the bigger their improvement was; and second, the higher their parents economic level was, the greater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as. When their parents graduated from high school,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as low.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worked on students of lower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ies that the free semester system would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educational polarization issues in the society.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영(Kim Jin yeong). (2018).자유학기제(2015-2017)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8), 293-316

MLA

김진영(Kim Jin yeong). "자유학기제(2015-2017) 수업 전과 후의 학생 만족도에 따른 성적변화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8(2018): 293-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