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영유아의 교육권과 보육지원에 대한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원장의 인식 차이

이용수 309

영문명
A Study on the Special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f Education Rights and Childcare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대영(Jung Dae Young) 조희제(Cho He Jea)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0호, 51~7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5.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의 교육권과 보육지원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부산 및 경남지역에 소재한 장애영유아를 보육하고 있는 어린이집원장 15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31일까지 약 한 달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영유아의 교육권은 보통 수준이었고 발달권과 참여권이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었고, 장애아전문, 장애아통합, 일 반어린이집 원장 순으로 교육권을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장애영유아에 대한 보육지원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인적, 재정·물리적, 교육적, 행정적 지원의 높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장애아통합어린이집과 장애아를 보육하고 있는 일반어린이집을 중심으 로 실제 지원 정도가 충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지원 방안으로 외부활동을 돕기 위한 보조인력 지원, 장애 관련 서비스 지원, 장애영유아 상담 지원, 장애영유아 보육지원센터 구축 및 확대를 높게 인식하였다. 따라서 장애영유아의 교육권을 확보하기 위해 인적, 재정 및 물리적, 교육적, 행정적 지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ycare center directors perception of education rights and childcare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argeting 157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about a month from March 2nd to 31st, 2018. The collected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right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wed the average level while the perception of rights to develop and participate was relatively low. Also, the education rights were highly perceived in the order of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specialized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ycare centers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daycare centers.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childcare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ite of high necessity of human/financial & physical/educational/administrative support, the actual degree of support for daycare centers integr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daycare cent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not good enough. As measures for childcare support, the support of assistant staffs for helping outdoor activities, support of service related to disabilities, support of counseling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establishment/expansion of childcare support center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perceived.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education right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human/financial & physical/educational/administrative support measures should be multilaterally review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대영(Jung Dae Young),조희제(Cho He Jea). (2018).장애영유아의 교육권과 보육지원에 대한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원장의 인식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10), 51-74

MLA

정대영(Jung Dae Young),조희제(Cho He Jea). "장애영유아의 교육권과 보육지원에 대한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원장의 인식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2018): 5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